목차
Ⅰ. 서론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 과제
1.3 용어 정의
Ⅱ. 이론적 배경
2.1 동화책과 영어 교육
2.2 드라마 기법을 적용한 영어 교육
2.3 영어과 통합 교육
2.4 내용 중심 통합 교육
2.5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3.1 연구 대상
3.2 연구 절차
3.3 실험 설계
Ⅳ. 수업 적용의 실제
4.1 교수· 학습 내용 분석
4.2 드라마 기법을 적용한 영어 동화 내용 중심 통합 수업 모형
4.3 수업 모형 적용과 분석
Ⅴ. 연구 결과 분석
5.1 영어 성취도 사전․사후 설문 조사 분석
5.2 정의적 영역 사전․사후 평가 결과 분석
Ⅵ. 결론 및 제언
6.1 결론
6.2 제언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초등학교 영어는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기초적인 영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교과이며(교육과학기술부, 2012), 감각과 놀이에 의한 체험 학습, 발견 학습을 권장하고 있다. 즉 학생들이 학습에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흥미로운 활동으로 이루어진 감각과 놀이 위주 교육이 주가 된다. 그러나 영어 수업이 단순한 놀이나 흥미 위주의 수업으로 진행된다면 학습자의 기억에는 게임 방법이나 승패 정도로 남게 되는 문제점을 지닌다. 또한 근래에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가 개발되어 초등 영어 수업에 활력을 주고 교사들에게 수업 부담감을 경감시키고 있다. 시청각 자료에 의존한 수업 역시‘살아있는 영어’를 익히는 방법으로 어느 정도 한계점을 지닌다. 초등 영어 교육은 언어의 본질적 특성‘살아있는 말’(Spoken English)을 익히고 그 말의 감(feeling)을 익혀서 의사소통의 바탕을 마련하는데 역점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이완기, 1998).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자에게 살아있는 말과 감을 익혀 진정한 의미의 의사소통의 기회를 제공하고, 영어 교육 목표에 부합하는 드라마 기법을 적용한 영어 동화 수업을 구안하고자 한다. 영어 동화는 학습자들이 어린 시절부터 친숙하게 접한 장르이며, 흥미로운 볼거리와 읽을거리를 제공한다. 동화책을 통해 반복된 간접 경험은 학습자들이 텍스트 내용과 어휘들을 익숙하게 받아들여 흥미롭게 학습에 도입할 수 있다. 또한 드라마 기법은 실제와 비슷하거나 상상력으로 꾸며낸 상황에서 의사소통 기능을 신장시키는 기법인 동시에 영어에 대한 흥미와 동기, 자신감을 증진시키는데 적합한 학습 방법이다. 이처럼 동화책과 드라마 기법은 영어 수업에 있어 유용한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학습자에게 흥미롭고 의미 있는 언어 입력을 제공해 줄 수 있다.
그러나 학생들이 언어 자료에 대한 충분한 이해(comprehension) 없이 동화책과 드라마 기법의 적용은 지속적인 학습이 되기가 어렵고 일회성에 그칠 우려가 있다.
참고 자료
고윤혜. (2010). 이야기 극화 활동을 이용한 고등학교 영어수업에서의 말하기 능력 향상 연구.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곽은수. (2012). 문자언어 기반 극화 반응활동 중심의 초등영어 내용통합 수업모형 개발. 석사학위 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김경한. (2012). 교육 연극 기법 기반 영미 드라마 수업 모형. 영미문학교육, 16(2), 47~81.
김미소. (2008). 내용중심 교수법을 적용한 초등학생의 통합 영어교육 효과. 박사학 위 논문, 전주대학교.
김영숙. (2010). 책읽기와 극화활동을 통합한 초등영어 영재 교육 방안. 초등영어교 육, 20(2), 33~55.
김정렬. (2000). 내용, 방법 및 매체를 중심으로 본 21세기 영어 교육. 서울: 홍릉 과학출판사
김정렬. (2003). 초등영어 통합 교육론. 서울: 한국 문화사.
김현진. (1998). 주제중심 통합 영어교육과정의 개발.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김혜리, 임 현. (2013). 아동문학 텍스트 기반 질문 전략을 활용한 발화 중심의 초 등 영어 수업 실행 연구. 초등영어교육, 12(1), 29~55.
맹정현. (2010). 드라마를 활용한 초등학교 방과후 영어 수업. 석사학위 논문, 경희 대학교.
문은영. (2008). 교육연극을 활용한 그림동화 지도 방안 연구. 어문학교육, 36(2), 143~182.
배금희. (2003). 영어 동화의 극화활동학습이 듣기 말하기 능력과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신길호. (2011). 영어과 교과교육학. 서울: 북스힐.
유지혜. (2006). 드라마기법을 활용한 초등학교 영어 수업 지도 방안. 석사학위 논 문, 한국외국어대학교.
윤윤혜. (2014). 영어 그림책 기반 연극놀이 활동이 초등영어수업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이영란, 고경석. (2011). 영어 동화를 활용한 교과 통합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초등영어교육, 17(1), 7~32.
이완기. (1994). 초등영어교육론. 서울: 문진당
이은희. (2004). 영어 동화 극화 학습을 통한 초등영어 의사 소통 능력 신장 방안 연구.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정계명. (2003). 초등영어교육에서 이야기를 활용한 통합학습의 효과. 석사학위 논문, 인천교육대학교.
조미원. (2008). 교육드라마 도입의 필요성 및 전략적 지도방법. 현대영미어문학, 2(2), 169~192.
한광석. (2001). 영어수업에 있어서 수업도구로서의 창의적인 드라마. 영어영문학연 구, 43(4), 335~354.
Brinton, D. M., Snow, M. A., & Wesche, M. B.(1989). Content-based second language instruction, New York, NY:Newbury
Brown H. D. (2007).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5th ed.), New York, NY: Longman.
Curtain. H., & Martinez, L. (1989). Integrating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nto the foreign language class : Hint for the FLES teacher.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05-823.
Ellis, G. & Brewster, J. (1991). The storytelling Handbook: A Guide for Primary Teachers of English. N.Y: Penguin Books.
Halliwell, S. (1992), Teaching English in the primary classroom, London: Longman.
Krashen, S. D. (1985), The Input Hypothesis Issues and Implication, London : Longman.
Marilee J. Platke (1992). The Elementary School Play, Academic Therapy Pubns
McCaslin, N.(1968). Creative Drama in the Classroom. 3rd. ed. N.Y: Longman.
Stephen B. Stryker & Betty Lou Leaver (1997). Content-Based Instruction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Georgetown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