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고분에서 출토된 유리용기의 유입과정에 대한 해석
- 최초 등록일
- 2016.03.11
- 최종 저작일
- 2013.10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신라고분에서 출토된 유리용기의 유입과정에 대해 처음, 중간, 끝이 유기적으로 내용이 연결하여 논문 작성하였습니다.
논문에서 제일 중요한 참고문헌 빠짐없이 넣었습니다.
정말정말 고생해서 A+맞았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1. 들어가는 말
2. 신라 유리용기의 사용
Ⅱ. 신라 유리용기의 유입시기와 유입과정
1. 신라 고분출토 유리용기
2. 신라 유리용기 출토고분의 분묘년도로 본 유입시기
3. 신라의 대외관계로 본 유리용기의 유입시기와 유입과정
Ⅲ. 맺음말
본문내용
Ⅰ. 머리말
1. 들어가는 말
신라는 지리적으로 영남내륙에 위치하고, 국경을 접하고 있는 고구려․백제․가야의 급격한 성장으로 고대국가의 기틀을 마련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었다. 고구려는 낙랑군․대방군을 축출한 이후 한반도 동북부지역에 위치하고 있던 삼연과 충돌하게 되면서 중국 중원의 문화와 삼연에서 유입된 선진기술을 기반으로 고대국가로 성장하게 되었다. 백제의 성장은 고구려와의 전쟁과 남조와의 직접적인 교류를 통해서 유입된 선진문화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가야의 성장은 왜와 백제를 이어주는 중개지의 역할과 낙동강하구의 교류창구에 위치하는 지리적 이점을 이용한 선진문화의 유입을 들 수 있다. 이로 인해 신라는 고구려․백제․가야보다 늦은 시기에 중국 중원이나 삼연과의 대외교류를 전개하여 선진기술과 문물을 받아들였다.
1973~1975년 신라의 황남대총 발굴 때 나온 것을 비롯해 천마총․금령총․서봉총 등에서 20여점의 로마(비잔티움) 유리용기와 사산조 페르시아 유리용기가 출토되었다. 지금까지 신라고분에서 출토된 외래물품을 소재로 신라의 대외교류 양상을 파악하려는 국내 학자들의 연구는 신라에 유입된 유리용기가 황금장식품의 기원과 함께 북방 실크로드를 통해 유입되었다는데 대해 대부분이 동의하고 있다.
2. 신라 유기용기의 사용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유리용기의 사용목적은 왕족급 무덤에 한정되었음을 공반된 금관과 금동관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참고 자료
김차규, 『로마(비잔티움) 유리용기의 신라유입 과정에 대한 해석』, 학술논문,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09, p.2, pp.25-26
김교민,『신라 유리제품의 사용과 성격』,학위논문(석사), 영남대학교, 2010, p.7, p.49
손호성, 『고분유물을 통해 본 신라의 대외관계』, 학위논문(석사), 영남대학교, 2010, p.44
<그림1> - 네이버 블로그 :
http://blog.naver.com/kkrjsw?Redirect=Log&logNo=110069223510
<그림2> - 문화재청 홈페이지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12,06240000,11
<그림3> - 문화재청 홈페이지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12,0620000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