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교육환경에서 영어 교과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 모색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ㆍ수록지정보 : 교육연구 / 25권 / 3호
ㆍ저자명 : 전선옥
ㆍ저자명 : 전선옥
목차
Ⅰ. 서 론Ⅱ. 다문화교육을 통한 영어 교과교육의 활성화
Ⅲ.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통합교실에서의 영어 교과교육
Ⅳ. 논의 및 제언
한국어 초록
이 연구에서는 통합교육환경에서 영어 교과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영어교과는 세계화라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일반교실에서 주요 과목 중의 하나로 분류되지만, 특수교육 대상학생들이 통합되기에는 어려운 교과 중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더욱이 특수교육 내부에서는 교육의 내용보다 교육의 방법이 중시되어온 전통에 따라, 특수교육 대상학생들에 대한 영어 교과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교수적 통합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진한 측면이 있어왔다. 근래 통합교육이 일반적인 교육환경으로 자리매김하는 과정에서는 장애학생과 일반학생 모두를 위한 통합교실에서의 교과교육 활성화 방안의 모색이 더욱 절실한 시점이다. 이 연구에서 모색한 방안으로는 첫째, 다문화교육을 통한 영어 교과교육의 활성화이다. 다문화교육에서는 먼저 장애인식교육으로서의 다문화교육을 실천함으로써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실질적 통합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도 나타나듯이,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는 영어과 교육의 목표이자 장애학생과 일반학생 모두에게 영어학습에 대한 동기유발을 촉진하는 바탕이 된다. 둘째로, 통합교육환경에서 영어 교과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문학텍스트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문학텍스트는 언어적 요소와 문화적 요소 및 사회적 요소가 공존하는 교수자료로서, 학생수준에 맞는 교수자료의 재구성과 수업설계가 병행될 경우 통합교실에서의 역동적인 수업상황 조성에 매우 적합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영어 초록
This study suggests that a successful English language education in inclusive settings requires various efforts to devise instructional strategies. In terms of school-wide educational support, multicultural education needs to be applied to general students for understanding disability concepts, an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understanding foreign custom and culture. In the classroom, moreover, teachers can use literary texts for more effective and authentic learning of English, and also facilitate students group activities for more dynamic and comprehensive language learning.In order to enhance the level and amount of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education classes, it is critical for Korean teachers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parameters directly related to the quality of instruction for an individual student, such as instructional adaptations. Accordingly, future priority research directions and topics with respect to teaching practices and instructional issues associated with effective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education classes are suggested.
참고 자료
없음태그
"교육연구"의 다른 논문
- 고졸 취업자들의 근무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를 중심으로20페이지
- 고등학교 사회․문화 교과서의 계급과 계층에 관한 내용 분석27페이지
- 한국인 용기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20페이지
- 혁신유치원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부산․경남 공사립유치원교사를 중심으로33페이지
-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과 대인관계유능성, 자기조절학습능력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21페이지
- 초등학교 부장교사의 교직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27페이지
- 실내디자인 전공 교육에 관한 학생 만족도 연구18페이지
- 특수교사의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집단적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20페이지
- 사교육 수요유발 요인과 대책의 논리29페이지
- 무엇을 위한 교육인가-교육목적관을 중심으로-2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