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특수교사의 시각장애스포츠 봉사활동 경험에 대한 인식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ㆍ수록지정보 : 시각장애연구 / 31권 / 4호
ㆍ저자명 : 양한나
ㆍ저자명 : 양한나
목차
I. 서 론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예비특수교사들이 시각장애스포츠 대회에 심판 및 선수로 참여하는 과정에서 느낀 인식을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B대학교 특수체육교육과 재학생 6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이들은
2015 세계시각장애인경기대회에 경기운영요원으로 참가하였고 충남어울림골볼대회에 선수로 참가하였다.
자료는 심층면담, 참여자들이 작성한 일지, 참여관찰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귀납적 분석 과정을 거쳤다.
연구의 진실성 확보를 위해 다양한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고 참여자 확인, 동료 협의를 거쳤다. 분석결과,
시각장애스포츠를 통해 시각장애인을 나와 동일한 사람으로 인식하였고, 선수로서 골볼을 체험한 후에는
극복정신을 존경하는 마음이 생겼으며 전공과 관련된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동기유발 요인이 되었다.
하지만 시각장애인은 우리 사회에 완전히 통합되기 어렵다는 인식이 남아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우수한 특수교사 양성을 위해서는 체험 중심의 장애인관련 봉사활동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봉사-학습의 연계를 위한 전문가의 피드백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erpretate perception of preservice specialeducation teachers through volunteering experiences of blind sports. To achieve the
goal, we involved 6 students who majored in the department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at the B university. They were participated in 2015 IBSA (International Blined
Sports Federation) World Games as a sports support staff, as well as they participated
in Chungcheongnam-do Eoullim Goalball competition as a player in South Korea. We
used inductive analysis method after collecting the data by in-depth interview,
participants' daily record, and participation observation. Authenticity of data was verified
by member check, triangulation, and peer debrief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came to recognize
that individuals with visual impairments were same as them through the experiences of
blind sports. Second, they came up with respect on conquer spirit of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after experiencing the goalball competition as player. Lastly, they were
motivated to increase professionalism related to their academic major. On the other
hand, we found that they still had the perception that individuals with visusal
imparement were difficult to integrate in our society. In order to foster the good
teacher, we need to develop the volunteer program regarding to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which is focusing on experience, and professional feedback in order to
connect between service-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