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예비특수교사의 시각장애스포츠 봉사활동 경험에 대한 인식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2.11 최종저작일 2015.12
19P 미리보기
예비특수교사의 시각장애스포츠 봉사활동 경험에 대한 인식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 수록지 정보 : 시각장애연구 / 31권 / 4호
    · 저자명 : 양한나

    목차

    I.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초록

    본 연구는 예비특수교사들이 시각장애스포츠 대회에 심판 및 선수로 참여하는 과정에서 느낀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B대학교 특수체육교육과 재학생 6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이들은
    2015 세계시각장애인경기대회에 경기운영요원으로 참가하였고 충남어울림골볼대회에 선수로 참가하였다.
    자료는 심층면담, 참여자들이 작성한 일지, 참여관찰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귀납적 분석 과정을 거쳤다.
    연구의 진실성 확보를 위해 다양한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고 참여자 확인, 동료 협의를 거쳤다. 분석결과,
    시각장애스포츠를 통해 시각장애인을 나와 동일한 사람으로 인식하였고, 선수로서 골볼을 체험한 후에는
    극복정신을 존경하는 마음이 생겼으며 전공과 관련된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동기유발 요인이 되었다.
    하지만 시각장애인은 우리 사회에 완전히 통합되기 어렵다는 인식이 남아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우수한 특수교사 양성을 위해서는 체험 중심의 장애인관련 봉사활동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봉사-학습의 연계를 위한 전문가의 피드백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erpretate perception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rough volunteering experiences of blind sports. To achieve the
    goal, we involved 6 students who majored in the department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at the B university. They were participated in 2015 IBSA (International Blined
    Sports Federation) World Games as a sports support staff, as well as they participated
    in Chungcheongnam-do Eoullim Goalball competition as a player in South Korea. We
    used inductive analysis method after collecting the data by in-depth interview,
    participants' daily record, and participation observation. Authenticity of data was verified
    by member check, triangulation, and peer debrief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came to recognize
    that individuals with visual impairments were same as them through the experiences of
    blind sports. Second, they came up with respect on conquer spirit of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after experiencing the goalball competition as player. Lastly, they were
    motivated to increase professionalism related to their academic major. On the other
    hand, we found that they still had the perception that individuals with visusal
    imparement were difficult to integrate in our society. In order to foster the good
    teacher, we need to develop the volunteer program regarding to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which is focusing on experience, and professional feedback in order to
    connect between service- lear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시각장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