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트 기반 개념학습에서 맥락적 정보가 학습 효율성, 개념적용에 미치는 영향과 필기기법과의 상관관계 연구
(주)학지사
- 최초 등록일
- 2016.02.11
- 최종 저작일
- 2015.12
- 34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6,3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
ㆍ수록지정보 : 교육공학연구 / 31권 / 4호
ㆍ저자명 : 송종숙, 김동식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 과
Ⅴ. 논 의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 기반의 개념학습에서 맥락적 정보 제공 수준이 학습효율성, 개념적용에 미치는 영향과 필기기법이 두 종속변인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H 대학교 재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개념학습으로 주어진 텍스트 자료는 멀티미디어 설계 원리에 관한 것이었으며, 집단은 맥락적 정보 수준에따라 상(HC), 하(LC)로 구분하였다. 맥락적 정보 제공 수준에 따른 집단 간 학습효율성과 개념적용 수준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 다음의 과제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는 개념에 대한정의적 정보(definitional information)를 확인하는 과제로, 성취 수준과 학습 소요 시간을 토대로 학습효율성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두 집단의 학습 성취 수준은 유사한 반면, HC 집단이 LC 집단보다 학습에 더 많은 시간을 소요하였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이 영향으로 HC 집단의 학습효율성은 LC 집단보다 낮았다. 이는 정의적 정보 확인 과제에서 많은 양의 맥락적 정보 제공이 오히려 개념학습의 학습효율성을 저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두 번째 과제는 학습한 개념을 활용하여 실제 멀티미디어 설계 사례의 문제를 진단하고 개선안을 제시하는 개념적용 과제였으며, 연구 결과,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대한 원인으로는 맥락적 정보 제공으로 인한 텍스트 구조의명확성 저해, 의미 거리 증가 등에 대한 논의가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선택적 필기기법과구성적 필기기법을 범주로 두 집단의 필기기법을 분석하였으며, 필기기법 사용 정도와 학습효율성, 개념적용 과제 수준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HC 집단에서만 필기기법사용 정도가 학습효율성과 정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학습자의 읽기 과정에대한 세부 관찰, 필기기법에 대한 질적 분석 등 향후 연구를 통한 보완이 요구된다.
영어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different amount of contextual information in text-basedconcept learning on two different types of tasks, a definition-identifying task(DIT) and conceptapplication task(CAT), and their correlation with note-taking techniques. 40 undergraduate studentswere randomly assigned to a treatment condition(low or high contextual information in text). For theDIT,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time were measured, which was used for measurement oflearning efficiency. The main tasks of the CAT were to identify applied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in the instructional samples and to suggest additional design rules for improvement. The results show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efficiency between two groups was found, primarily due todifference in learning time, which indicates that high contextual information is likely to hinderlearners' involvement in solving the DIT. Unlike our hypothesi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difference in the learning achievement of the CAT. For analysis of note-taking techniques, selectiveand generative aspects were used as the coding categories. Our result, a correlation of learningefficiency of DIT and learning achievement of CAT, and the usage of note-taking techniques, showsthat the experimental group was only correlated with the usage of note-taking techniques in thelearning efficiency. This implies that students tend to take an active role in processing highcontextual information by using various note-taking techniques.
참고 자료
없음
"교육공학연구"의 다른 논문
더보기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