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섬유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중도입국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이중문화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15~19세 사이의 한국에 들어 온지 2년 이내의 중국계 중도입국청소년으
로 모집하고 실험집단 6명과 통제집단 6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기간은 2014년 1월부터 3월까
지 주 1~2회 90분씩 사전․사후 검사를 제외하고 총 15회기가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자아
정체감을 알아보기 위한 자아정체감 척도와 동적 집-나무-사람 그림검사, 이중문화스트레스를 알아보기 위한 이
중문화스트레스척도와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실험집단의 자아정체감 척도 사
전․사후 검사를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해 비교한 결과 자아정체감의 6개 하위영역 가운데 3개의 영역에서 유의
미한 결과를 나타내고 동적 집-나무-사람 그림검사에서도 양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둘째, 실험집단의
이중문화스트레스 척도 사전․사후 검사를 윌콕슨 부호 순위 검증을 실시한 결과 이중문화스트레스의 감소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에서 양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셋째, 회기별 질적 분
석에서 집단원들은 한국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감소, 자신의 미래에 대한 긍정적 기대감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섬유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중도입국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이중문화스트레스 효과가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at how group art therapy using fabric media affects the self-identity and the bicultural
stresses of immigrated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We studied only Chinese immigrated
adolescents of age 15 to 19 living in Korea within 2 years. 6 were randomly assigned to control group and
the other 6 to experiment group. The therapy was performed 15 times of each 90 min except pretest and
post test once or twice per week from Jan. to Mar. 2014. Self-identity Scale Test and K-HTP test were
applied to investigate their self-identity and Bicultural Stress Scale Test and PITR Test applied to examine
their bicultural stresses. Firstly, by comparing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retest and post-test for testing
self-identity scale with t-verification of the matching sample, 3 domains of 6 subordinate scopes could be
said to have the meaningful results. The result of K-HTP showed a positive quantitative change. Secondly,
the result of the Wilcoxon’s signed ranks test implemented as the pretest and post-test for testing bicultural
stress scale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stress reduction. And positive quantitative changes were found
in PITR test. Thirdly, qualitative analysis for each session progress showed group members could reduce
their negative understanding of Korea. We found that group art therapy using fabric media gave positive
effects on the self-identity and the bicultural stresses of immigrated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1. 해피캠퍼스 오른쪽 상단 [내계정 > 다운가능자료]를 누르면 [구매자료] 페이지로 이동되어 자료를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자료의 열람 및 다운로드 가능 기간은 구매일로부터 7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