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 가정 조모의 손자녀 양육경험와 양육갈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조모와 취업모 관점에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보육지원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11권 / 4호
ㆍ저자명 : 김미옥, 송승민, 이사라
ㆍ저자명 : 김미옥, 송승민, 이사라
목차
Ⅰ. 서 론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한국어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맞벌이 가정에서의 조모들의 손자녀 양육참여와 갈등을 알아봄으로써 공동양육자인 조모세대와 성인자녀세대의 조모 양육에 관한 견해들을 이해하고, 건강한 관계정립을 하여, 좀 더 나은 양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함이다. 이 목적을 위해서 경기도 지역의 영·유아기 손자녀를 양육하는 6명의 조모와 그들의 성인자녀 중 6명의 취업모 총 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5월부터 2014년 12월까지이며, 개방형 반구조 면접지침에 따른 심층면접과 전자우편, 관찰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현상학적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78개의 의미단위와 15개의 하위구성요소, 6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6개의 구성요소는 (1) 조모의 양육경험: 손자녀 양육을 통한 조모의 이중역할 (2) 취업모의 양육경험: 취업모의 모성이데올로기의 갈등 (3) 조모 관점에서의 긍정적 효과: 조모의 생성감 증가와 자녀세대와의 친밀한 유대관계형성 (4) 취업모 관점에서의 긍정적 효과: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감소 (5) 손자녀 양육경험의 부정적 효과: 조모의 양육 스트레스 증가와 취업모의 낮은 양육 효능감 (6) 양육갈등: 두 명의 엄마와 충돌하는 양육 가치관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양육태도와 양육기술에 대한 두 엄마의 다른 가치관의 충돌은 서로에 대한 이해와 조율의 필요성이 제기됨으로 사회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ifferent views of grandparent's that are rearing children from the grandmother and working mom as co-caregivers by studying conflicts and the experience made by grandmothers by rearing children through a phenomenological approach, and to help to build healthy relationships and furthermore to promote a healthy educational environ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six working mothers from a child care center in Gyeonggi, and their six grandmothers who were rearing grandchildren through in-depth interviews, emails and observation based on the instruction of semi-structured interviews. For analysis, a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is used. As a result, 78 meaning units, 15 sub-elements and 6 theme categories were drawn. Theme categories were (1) grandmothers' rearing experience; perform a double-role through grandchildren-rearing (2) working moms' rearing experience; conflicts over ideologue of motherhood (3) grandmothers' rearing positive effect: increasing grandmothers' efficacy and intimate relationships with grandchildren (4) working moms' rearing positive effect: reducing working moms' children-rearing stress (5) negative effect: increasing grandmothers' children-rearing stress and working moms' low children-rearing efficacy (6) rearing conflicts: the two mothers' conflicts over children-rearing values. Through the study, it implies that social intervention is needed to solve the conflicts between two mothers over the rearing attitudes and methods as understanding and intervention is needed.참고 자료
없음태그
"한국보육지원학회지"의 다른 논문
-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과 심리·행동 통제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의 매개효과22페이지
- 예비유아교사의 동성애에 대한 이미지 유형연구27페이지
-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유아다문화교육 내용의 연결망 비교 분석: 2009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와 3..22페이지
- 영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인식 및 요구도21페이지
-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유아의 기질-어머니의 요구수준 간 차이가 남아와 여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20페이지
-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아에 대한 은유연구: 장애학의 관점에서20페이지
- 예술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매개..17페이지
- 베스트셀러 그림책에 나타난 다문화교육내용 분석27페이지
-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결혼만족도 및 가정환경 탐색 - 취업여부를 중심으로17페이지
-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2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