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보육지원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11권 / 4호
ㆍ저자명 : 이연선, 김태경, 연희정
ㆍ저자명 : 이연선, 김태경, 연희정
목차
Ⅰ. 서 론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동성애에 대한 이미지 유형과 그 특성을 Q-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3, 4학년의 예비유아교사 180명을 대상으로 동성애에 대한 브레인스토밍을 실시하여 Q-모집단을 마련하였다. 그 중 40개의 진술문을 추출하여 Q-표본을 만들고, 45명의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진술문의 동의수준을 9단계로 분류하도록 하여, 그 결과를 QUANL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의 동성애에 대한 인식유형은 4가지로 분류되었으며, 각 유형 ‘존중형-동성을 사랑하는 보통 사람’, ‘인정형-시선이 집중되는 독특한 사람’, ‘관계부정형-나와 다른 자아를 타고난 사랑’, ‘극단적 부정형-존중받지 못하는 혐오스런 사람’로 명명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동성애에 대한 예비유아 교사의 인식과 그 특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동성애에 대한 인식론적 지배담론이 예비유아교사들의 신념에서 어떻게 투영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유아 다문화교육에서 침묵된(silenced) 부분인 성에 대한 교육-실천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동성애에 대한 교육자의 시각을 점검해보고 한국사회의 동성애에 대한 문화적 이해수준을 파악하는 것은 향후 유아교육에서의 다문화 교육방향을 정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belief in homosexuality. This study applied the Q-method to investigate teachers’subjective awareness of homosexuality. Using an open questionnaire, we asked participants to describe how they think about homosexuality. Forty-five pre-service teachers were Q-sampled. Using the QUANL program, 45 statements were classified into 9 levels. Results revealed that image type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distinguished categories: 1) type of respect: to regard gays and lesbians as normal people who love the same sex, 2) type of acknowledgment: to regard them as very unique people who attract people’s attention, 3) type of relation-denying: to regard them as someone who were born totally differently, and 4) type of extremely denying-to regard them not being respected and disgusting. Most of the teachers seemed to have a tendency to acknowledge and respect individuals’sexual orientation. However, some pre-service teachers still have a negative attitude toward homosexuali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silenced issue, that is, sexual orient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s can have a strong effect on young children’s belief about sexual identity and sexual orientation. It would be important to look back on educators’perspective on homosexuality before suggesting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of young children related to the issue of sexual orientation.참고 자료
없음"한국보육지원학회지"의 다른 논문
-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과 심리·행동 통제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의 매개효과22페이지
- 맞벌이 가정 조모의 손자녀 양육경험와 양육갈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조모와 취업모 관점에서31페이지
-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유아다문화교육 내용의 연결망 비교 분석: 2009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와 3..22페이지
- 영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인식 및 요구도21페이지
-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유아의 기질-어머니의 요구수준 간 차이가 남아와 여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20페이지
-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아에 대한 은유연구: 장애학의 관점에서20페이지
- 예술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매개..17페이지
- 베스트셀러 그림책에 나타난 다문화교육내용 분석27페이지
-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결혼만족도 및 가정환경 탐색 - 취업여부를 중심으로17페이지
-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2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