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유형이 교사사기 및 열의, 교사지지, 학생수업참여를 매개로 학생의 삶의 질과 미래역량에 미치는 영향 : 일반고와 특목고를 중심으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육행정학회
ㆍ수록지정보 : 교육행정학연구 / 33권 / 2호
ㆍ저자명 : 안영은, 양성관
ㆍ저자명 : 안영은, 양성관
목차
I. 서 론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학교유형(일반고/특목고)에 따라 학교효과(삶의 질, 미래역량)에 차이가 있는지확인하고 이 차이가 발생되는 경로를 교사사기 및 열의, 교사지지, 학생의 수업참여라는 매개
변수를 포함한 구조방정식을 통해 밝힘으로써 일반고 교육력 강화를 위한 선행조건을 밝히고
자 하였다. 한국교육개발원의「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 4 주기 고등학교 데이
터(2012) 중에서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12,20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SPSS
21.0을 통해 기술통계를, Mplus 6.0을 통해 MIMIC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학교유형이 교사
사기 및 열의, 교사지지, 수업참여를 매개로 학생의 삶의 질 및 미래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분
석했다. 연구 결과, 학교유형이 교사사기 및 열의, 교사지지, 수업참여를 매개로 삶의 질, 미
래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는, 첫째 모든 경로가 유의하였고, 학교유형이 학교효과
에 미치는 직접효과보다 교사사기 및 열의, 교사지지, 수업참여를 매개하는 간접효과의 총합
이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삶의 질과 미래역량 각각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경로계수가 ‘학
교유형→교사사기 및 열의→교사지지→삶의 질’, ‘학교유형→교사사기 및 열의→교사지지→미
래역량’으로 학교유형이 교사사기 및 열의와 교사지지 변수를 거쳐 학생의 삶의 질과 미래역
량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셋째, 학교유형이 미래역량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
였지만, 그 총효과가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었다.
영어 초록
This study examined whether school types(general or special-purposed) makedifferent school effect(quality of school life, future capability) and if so, how the
difference is made. Based on theories, the research model in which school type
impacts on school effect(quality of school life, future capability) with a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morale and engagement, teacher's support,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was settled. To practice this research, Data of 「Analysis on the Actual
Status and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in Korea: A Study on the High
Schools(2012)」conducted by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ere used.
Finding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results from MIMIC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s that school types positively impact on teacher's morale and
engagement, teacher's support,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quality of school life, and
future capability. However, direct effect from school type to quality of school life or
future capability is lower than the sum of indirect ones. Second, inasmuch as the
largest effect on quality of school life and future capability were 'school type→
teacher's morale and engagement→teacher's support→quality of school life', 'school
type→teacher's morale and engagement→teacher's support→future capability', we can
find out teacher's effort is especially important to improve school effects. Finally,
school types impact on quality of school life more than on future capability.
참고 자료
없음태그
"교육행정학연구"의 다른 논문
- 단위학교의 교육책무성과 교사의 인적자본 및 사회적 자본 관계 분석20페이지
- 신문기사에 나타난 학교정보공시 자료의 활용실태 분석23페이지
- 부가가치 모형을 적용한 고등교육 성과 평가: 취업률 지표를 중심으로26페이지
- 대학생 다양성 경험(diversity experiences)에 대한 영향 요인과 다양성 경험의 차이..24페이지
- 의학전문대학원 정책 과정에서의 정책오차와 정책오차 수정 제약요인 분석: ‘정책오차 수정실패의 제도화..30페이지
- 지역사회 기반 교육공동체 구축 원리에 대한 탐색적 접근: 복잡성 과학, 사회적 자본, 교육거버넌스 ..29페이지
- 자발적 봉사활동 참여가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효과 분석23페이지
- 교육정책 변화에 따른 고등학교 상치교사 동향 분석: 2008-2013년을 중심으로21페이지
- 대규모 교육지원청 효율화 방안 연구26페이지
- 교육정책 및 현안에 대한 제19대 국회와 교원 인식 비교 분석2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