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활용한 외국어고 정책 분석 : 2004-2013을 중심으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육행정학회
ㆍ수록지정보 : 교육행정학연구 / 33권 / 2호
ㆍ저자명 : 정제영, 이희숙
ㆍ저자명 : 정제영, 이희숙
목차
Ⅰ. 서론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외국어고 정책의 흐름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이 연구는 외국어고 정책의 변동과정에서 주기적으로 문제가 제기되고 이슈화 되지만 정책이 발표되면 다시 정책의제에서 사라지는 현상에 대해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의 관점에서
분석을 시도하였다. 2004년에서 2013년까지 10년간의 외국어고 관련 정책흐름을 분석하면서
정책문제의 흐름, 정치의 흐름, 정책의 흐름이 특정한 순간에 결합되어 정책의 창이 열렸고,
이 과정에서 정책결정이 이루어진 상황을 분석하였다. 특히 2007년과 2009년에 있었던 외국
어고 폐지논란 과정에서의 정책 변동 과정을 정책흐름모형의 관점에서 설명하고자 하였다.
2004년부터 10년간 외국어고 정책의 흐름을 정책흐름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외국어고 관련 정책은 교육적 이슈일 뿐만 아니라 정치적 이슈로 다루어져 왔
다는 점이다. 둘째, 외국어고와 관련하여 정책의 창이 열린 것은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발생
하여 문제의 창이 열린 것이라기보다는 정치적 변동에 의해 정치의 창이 열린 것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정책의 창이 열렸을 때 제기되는 문제가 완전히 해소되
지 않으면 정치적 변동에 따라 계속 이슈로 제기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
대로 도출한 정책적 제언으로는 첫째, 외국어고가 정치적 흐름에서 문제가 되지 않도록 평소
에 외국어고 선발 및 운영에 대한 정책적 관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정책문제의 흐
름에서 심각한 정책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선제적으로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기 위한 정
책을 만들어가는 정책활동가의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학교 외부에서 문제가 제기되지
않도록 외국어고 스스로 교육 개선을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추진될 필요가 있다.
영어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recurring phenomenon of a government policy response toforeign language high school issues, based on Kingdon’s Policy Stream Model. The
framework of Kingdon’s model is that the policy window opens when it comes to
the coupling of the problem stream, the political stream, and the policy stream at a
certain moment and, at this moment, policy entrepreneurs play important roles in
the process of policy making. Especially, this study is trying to explain the process
of debate on abolition of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system in 2007 and 2009.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First, foreign language school policy has
been treated as political issues as well as educational issues. Second, Opening of
policy window on foreign language school has been affected by opening of political
window according to political changes. Finally, it is assured that if the rising
problem is not totally resolved, when the policy window opens then the problem
can be raised consecutively as political changes.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s: First,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selection and operation
of foreign language school. Second, policy entrepreneurs' efforts are required to take
preemptive action on problems. Finally, foreign language schools should seek self
directed development consistently.
참고 자료
없음태그
"교육행정학연구"의 다른 논문
- 단위학교의 교육책무성과 교사의 인적자본 및 사회적 자본 관계 분석20페이지
- 신문기사에 나타난 학교정보공시 자료의 활용실태 분석23페이지
- 부가가치 모형을 적용한 고등교육 성과 평가: 취업률 지표를 중심으로26페이지
- 대학생 다양성 경험(diversity experiences)에 대한 영향 요인과 다양성 경험의 차이..24페이지
- 의학전문대학원 정책 과정에서의 정책오차와 정책오차 수정 제약요인 분석: ‘정책오차 수정실패의 제도화..30페이지
- 지역사회 기반 교육공동체 구축 원리에 대한 탐색적 접근: 복잡성 과학, 사회적 자본, 교육거버넌스 ..29페이지
- 자발적 봉사활동 참여가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효과 분석23페이지
- 교육정책 변화에 따른 고등학교 상치교사 동향 분석: 2008-2013년을 중심으로21페이지
- 학교유형이 교사사기 및 열의, 교사지지, 학생수업참여를 매개로 학생의 삶의 질과 미래역량에 미치는 ..30페이지
- 대규모 교육지원청 효율화 방안 연구2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