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사의 교육용 콘텐츠 활용 현황 및 요구 분석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ㆍ수록지정보 : 시각장애연구 / 30권 / 1호
ㆍ저자명 : 김호연, 강경숙
ㆍ저자명 : 김호연, 강경숙
목차
Ⅰ. 서 론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특수교사들의 웹사이트와 소프트웨어를 비롯한 교육용 콘텐츠 활용 현황을 알아보고, 향후교육용 콘텐츠를 개발하는데 고려할 점을 제공하고자 인터넷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의 교육
용 콘텐츠 활용 방법, 학생과 교사가 선호하는 교육용 콘텐츠의 특성, 교육용 콘텐츠에 대한 구체적인 문
제점과 개선 요구사항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전국적으로 특수교사 452명의 응답이 분석되었으며, 특
수교사는 교육용 웹사이트를 주당 3~4시간을 활용하고 있었다. 상업용 CD롬 타이틀보다는 인터넷자료
를 주로 사용하였는데, 그대로 다운받아 활용하기보다 학생들의 특성과 수준에 맞게 가공하거나 동료교사
들과 함께 제작하기도 하였다. 이는 특수교사들의 교육용 콘텐츠에 대한 요구사항으로서 자료를 재구성
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학생들이 선호하는 교육용 콘텐츠의 특성으로는
사진이나 그림으로 제작된 것, 자신의 인지수준에 맞게 구성된 자료, 익숙한 주변 환경이 나오는 자료,
동영상으로 제작되어 있는 것 등을 우선적으로 꼽았다. 더불어 교육용 콘텐츠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사항
혹은 개선방안을 영역별로 분석하여 제시하였는데, ‘자료의 양적 확대’, ‘재구성이 용이한 자료의 제
공’, ‘자료의 주제별 정리’, ‘자료를 집대성한 사이트의 필요’, ‘쌍방향 자료 교환 가능’의 순으
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결론을 제시하였고, 연구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한 후속연구의
제언이 논의되었다.
영어 초록
The survey for the current study was implemented to figure out current status andneeds regarding educational contents including web-sites and software,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been utilized.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homepage
and analyzed contents us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contents students and
teachers prefer, and specific problems and needs for improvement. Therefore this
study would be provided and used for basic data and materials in developing and
improving educational contents for special education websites. Totally 452 teachers
nationwide were includ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First of all, the teachers have
used 3-4 hours a week and prefer internet materials to CD-Rom titles. And they
tend to reconstruct or reorganize the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the students’
levels and their own needs. And the teachers recognize that students tend to prefer
the forms of photos or pictures, and the materials designed based on their own
intellectual level, constructed with familiar surroundings, and made as video types. In
addition, written in questionnaires as teachers' needs for good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s, were analyzed and presented: enlargement of
contents; materials could be restructured; materials with thematic categorization;
websites with magnificient materials; contents could be double-way interacted. Finally
ideas of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based on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