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능론자의 교육여건 평등론 비판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9.04 최종저작일 2010.01
22P 미리보기
기능론자의 교육여건 평등론 비판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원리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원리연구 / 15권 / 2호
    · 저자명 : 최성욱

    초록

    교육과 관련하여 평등의 이슈가 자주 거론된다. 교육의 기회, 과정, 결과에서 제약이나 차별이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그 골자이다. 특별히 사회경제적 이익을 둘러싼 학교 안팎의 경쟁구도를 전제하고, 그 가치 획득과 배분에 영향을 주는 제도적 조건과 절차의 불평등을 논란거리로 삼는다. 정치적, 법률적 평등은 중요하고, 사회적 차별의 문제가 심각하다는 데 이견이 있을 수 없다. 그러나 그럴수록 평등의 이슈가 과연 교육과 유관한 것인가 하는 근본적인 문제의식을 갖게 된다. ``교육에서의 평등``을 주장하는 이들은 그 ``교육``이 무엇인지를 명확히 규정하지 않은 채 그것을 평등 이념의 실현 도구나 장치로 갈음함으로써 교육의 실체에 대한 이론적 해명을 유예시킨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기능론``으로 분류되는 이런 접근방식에서는 ``교육여건``의 평등을 문제 삼는 논의 또한 파행이 불가피하다. 이 글에서는 평등의 실현수단으로서 교육과 그 여건의 구별은 가능한가, 평등의 이념을 구현하기 위한 제반 여건의 평등은 실현가능한 것인가, 그리고 여건의 평등화가 과연 교육적으로 바람직한 것인가 하는 세 가지 문제를 중점적으로 고찰하고, 그 논의의 맥락을 차별화할 필요성을 제기함으로써 교육을 기존의 평등논의로부터 해방시키는 단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Equality is one of the main themes in the discourse of education. People say that the opportunity, process, and result of ``school education`` are to be equally guaranteed to everyone. It is because they believe any differences in the components of school life may result in the aggravation of socioeconomic discrimination. Specially, sociologists in the conflict theory insist that school contributes to reproduction of social inequality. Therefore, they persist that ``educational environment`` in a school or between schools be made even. It is agreeable that men should not be treated unequally in a political or social sense. However, whether the issue of ``inequality`` has really critical meaning in the context of education is still uncertain. Educational sociologists argue that anything that works for attaining goals can be accepted as ``education.`` But, such a functionalistic logic of definition only falls into its own trap of false reasoning. It neither reveals any substance of education as a whole, nor verifies it. In this paper, I explained why a functionalistic view of education meets with problems of conceptualizing ``educational environments`` in its argument of realizing ``educational equality``. I made a critical talk at three points: 1) functionalists fail to give a valid sense of educational environment unless they tell education from the other realms of life as its environment, 2) to make ``education environment`` equal wouldn`t be possible with problems in attaining all the goals they accept from outside and in getting methods controllable of every environment, and 3) making equal of all ``education environment`` wouldn`t be desirable from an endogenous perspective of education because it comes from a sociological way of thinking, and equalization itself will drive out education eventually. Therefore, I concluded that the issue of equality in ``educational environment`` is out of context with education. Education is left still unexamined and untouched waiting to be uncovered with a theoretical frameworks woven fit for its unique and independent characteris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자료의 품질이 높고, 전문적인 내용이 많아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지식판매자에게 감사드리며, 계속해서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원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