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교육학연구 / 53권 / 2호
ㆍ저자명 : 서미옥
ㆍ저자명 : 서미옥
목차
Ⅰ. 서론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학업상황에 적합한 학업지연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
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학업지연척도는 5가지 구인의 45문항이 선별되었다. 5가지 구인은
‘동기부여 부족(11문항)’, ‘게으름 및 습관(14문항)’, ‘완벽주의(5문항)’, ‘교육과정 및 과제 난이도
(10문항)’, ‘시간관리 계획 부족(5문항)’이며, 5점 리커트 척도이다. 본 학업지연 척도는 국외에서
개발된 학업지연 척도와 비교하여 몇 가지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었다. 둘째, 내적일관성 신뢰
도를 산출하였는데 Cronbach α는 .76∼.93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지연 원인 척도와 선행연구들
에서 학업지연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된 변인들 간의 상관을 산출하였는데, 대부분이 유의하였다.
학업지연과 부적상관을 보인 변인은 성실성, 학습몰입, 한 달 전부터 시험공부하기로 나타났다.
또 학업지연과 정적 상관을 보인 변인은 당일 날 밤에 시험공부하기, 하루 전에 시험공부하기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학업지연이 학업상황에서 부정적 특성을 야기할 수 있는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for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toverify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our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ew instrument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contain 45 items, a 5-point
Likert-scale format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scale measured the five factors of lack of motivation(11 items), laziness and habit(14 items),
perfectionism(5 items), curriculum and task difficulty(10 items), and lack of time management
planning(5 item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comparison with other scale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were then discussed. Second, the internal consistency alpha coefficient was
found to be .76∼93. Third, academic procrastinat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criterion-related validity variables. Academic procrastin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ime preference to study for exams a month before, and learning flow and conscientiousness.
Academic procrastin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ime preferences to study for exams
a night before and day by day.
참고 자료
없음태그
"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
- Wittgenstein's Indirect Communication: Educational Impl..25페이지
- 탈북교사의 북한교육에 대한 인식 고찰 - 남북한 교육통합을 위한 시사점22페이지
- 정책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된 중고등학교 현지연구의 쟁점과 어려움 및 그에 대한 대처방안: 두 학교 현..36페이지
- 대학생 NCS 직업기초능력 특성 및 유형 탐색29페이지
- 대학효과 이론의 관점에서 본 교환학생 프로그램 참여 경험의 의미31페이지
- 대학생의 수업 외 활동이 능동적 협동적 학습 및 대학 몰입에 미치는 영향34페이지
- 고교-대학교육 연계를 위한 탐색적 연구 - 이공의약계열 진학자의 고교선택과목 수강경험을 중심으로22페이지
- 방송통신고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내실화 방안 마련35페이지
- 특성화고 취업지원관 직무분석과 교육 요구분석 연구26페이지
- 언어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통한 혁신학교 교육과정 문서 분석2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