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성화고 취업지원관 직무분석과 교육 요구분석 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교육학연구 / 53권 / 2호
ㆍ저자명 : 박상선, 송해덕, 신연주, 조성인
ㆍ저자명 : 박상선, 송해덕, 신연주, 조성인
목차
I. 서론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능력중심 사회’구현을 위한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취업 활성화 정책 지원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이 도입됨에 따라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직무능력을 갖춘 인재를 적합한 일자리와 매치시키는 취업
지원관의 역할이 중요시 되고 있다. 취업지원관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직
무역량을 가져야 하는 가에 대해서는 연구들이 제한되어 왔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특성화고
취업지원관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내용 선정을 위한 과업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
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DACUM을 이용하여 취업지원관 직무를 분석하여 책무와 과업을 도출하였
고 각 과업별로 현재수준과 필요수준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t 검정과 Borich 요구도
공식, The Locus for Focus 모델 적용을 통해 교육요구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DACUM 워크숍을
통해 6개의 책무와 55개의 과업이 도출되었으며, t 검정과 Borich 요구도 공식,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적용한 교육요구 분석 결과 총 12개의 과업에 대해 취업지원관에게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
타났다. 본 연구는 취업지원관의 직무 수행에 요구되는 교육프로그램 제안과 취업지원관의 직무 역량
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영어 초록
A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are introduced to increase employment opportunitiesspecialized or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for realization of competence-based society, job
consultants’ roles are being emphasized. Despite the importance of job consultants,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competencies that are required for the job. Therefore, the role of job
consultant who match right people with suitable jobs have been increasingly considered as
important. In this sense, this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asks for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imed for job consultants at specialized or Meister high schools.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the tasks of job consultants are analyzed by employing DACUM, through
which the responsibilities and tasks are derived. In addition, a survey i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levels and need levels for each task, in which the education needs are
analyzed through t-test, Borich need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results show 6 responsibilities and 55 tasks. Findings from the analysis of the education needs by
t-test, Borich need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suggests that education for
job consultants should include 12 tasks in total. This study has implication that job
competencies-based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provided to for job consultants to successfully
perform required tasks.
참고 자료
없음"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
- Wittgenstein's Indirect Communication: Educational Impl..25페이지
- 탈북교사의 북한교육에 대한 인식 고찰 - 남북한 교육통합을 위한 시사점22페이지
- 정책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된 중고등학교 현지연구의 쟁점과 어려움 및 그에 대한 대처방안: 두 학교 현..36페이지
- 대학생 NCS 직업기초능력 특성 및 유형 탐색29페이지
- 대학효과 이론의 관점에서 본 교환학생 프로그램 참여 경험의 의미31페이지
- 대학생의 수업 외 활동이 능동적 협동적 학습 및 대학 몰입에 미치는 영향34페이지
- 대학생용 학업지연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25페이지
- 고교-대학교육 연계를 위한 탐색적 연구 - 이공의약계열 진학자의 고교선택과목 수강경험을 중심으로22페이지
- 방송통신고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내실화 방안 마련35페이지
- 언어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통한 혁신학교 교육과정 문서 분석2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