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특수교육 분야에서의 개별화교육 연구 동향과 과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 8권 / 1호
ㆍ저자명 : 박은송
ㆍ저자명 : 박은송
목차
Ⅰ. 서 론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분석 논문 목록
한국어 초록
개별화교육은 특수교육대상 학생을 교육하는 대표적인 교육방법 중 하나이다. 개별화교육과관련한 연구는 다른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편에 속한다. 하지만 IEP의 계획, 실행에 관
한 연구는 많지만 IEP에 따른 교육의 질을 평가하는 연구는 미미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IEP의
질 관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IEP의 도입과 더불어 연구된 국내 IEP 관련 선행연구의 동
향을 분석하여 향후 IEP의 질과 교육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를 다지고자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학술정보서비스를 통해 검색한 IEP 관련 학술 논문 중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논문 총 72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선행연구들의 분석 결과는 대체로 연구가 특정
영역에 편중되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으며, 실험 연구나 IEP 평가와 관련한 연구들이 부족
하여 IEP의 개선이나 질을 높이기 위한 실제적인 연구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앞으로의 연구과제
는 IEP의 질 평가를 위한 연구를 토대로 특수교육대상 학생에게 더욱 적절한 교육을 강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영어 초록
This study is on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IEP) which is beingemphasized in domestic and foreign special education field. IEP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education methods of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There
are relatively many researches on the plan and practice of IEP compare to other
researches. However studies on the evaluation of IEP are still insignificant.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strengthen the basics for evaluating IEP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practice of IEP in Korea and trend of preceding researches to prepare
the foundation of quality management of IEP. To do so, this study selected and
analyzed total of 72 studies that accord with research purpose among retrieved
academic treatises through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of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3 studies on IEP
were announced for the first time in 1998 and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were
the main research subject. It was seen that majority of the research used servey
research whereas only a few research involved actual experimental research. There
survey researchs consisted of three main factor; general survey, planning and
application of IEP. However, What are need the major is the actual evaluation of
IEP's quality. As described above, it was verified that the analysis result of precedent
studies was concentrated in a certain territory, and there have been insufficient
practical researches to improve IEP or quality of IEP as there was insufficient
number of experimental researches or related researches.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devise appropriat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based on
the research on quality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I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