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학습장애학회
ㆍ수록지정보 : 학습장애연구 / 12권 / 1호
ㆍ저자명 : 임은주, 최승숙
ㆍ저자명 : 임은주, 최승숙
목차
Ⅰ. 서 론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탄력성에 관한 전반적인 양상을 파악하고, 일반아동과 학습부진아동의 탄력성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국 4개 권역의 초등학교 4~6학년, 705명을 대상
으로 ‘탄력성 지수 검사(Resilience Quoitient Test: RQ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
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아동의 탄력성 정도는 평균 23.83(SD 20.00)점이며, 하위요
인에서는 공감능력과 낙관성이 높고, 원인 분석력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탄력성 하
위요인 중 충동통제력이 탄력성 전체 정도와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학년에 따른 분석에
서 탄력성 전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위요인에서는 학년별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탄력성 전체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
은 정도가 나타났다. 둘째, 학습부진아동의 탄력성은 평균 13.00(SD 18.85)점이며, 하위요인별
로는 공감능력과 낙관성이 높고, 원인분석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하위요인 중 정서조절력
이 탄력성 전체 정도와 가장 상관이 높았다. 학습부진아동의 학년에 따른 탄력성 차이는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셋째, 일
반아동과 학습부진아동은 대부분의 탄력성 하위요인에서 유사한 발달 양상을 보이나 탄력성
전체 정도에 있어서는 학습부진아동이 일반아동보다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의 탄력성을 지니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추후 일반아동과 학습부진아동의 특성을 고려한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amine the overall resilience level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and the differences of resilience between normal children and low-achieving children. Nationally 705
students who are at 4 to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completed
the ‘Resilience Quotient Test: RQT’, and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ilience degree of normal children is the average 23.83 (SD 20.00). The level of empathy and
optimism was relatively high in the sub-factors meanwhile causal analysis appeared to be the lowest
factor among them.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4 to 6th graders on the
overall resilience. However, girls showed statistically higher than boys in the degree of resilience. In
the sub-factors of impulse control has influence highest on the correlation of resilience degree.
Second, the resilience of low-achieving children is the average 13.00 (SD 18.85). The level of
empathy and optimism was relatively high as normal children in the sub-factors meanwhile causal
analysis appeared to be the lowest factor.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s of low-achieving students
in degree of resilience, but thes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of resilience among 4 to 6th graders. In
the sub-factors of emotional regulation has an effect highest on the correlation of resilience degree.
Third,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normal children and low-achieving children in the
overall degree of resilience. Implica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