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식의 선결문제로서 허위판단에 관한 고찰- 플라톤의⌈소피스트⌋편을 중심으로 -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5.06 최종저작일 2015.02
19P 미리보기
지식의 선결문제로서 허위판단에 관한 고찰- 플라톤의⌈소피스트⌋편을 중심으로 -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도덕윤리과교육 / 46권
    · 저자명 : 최순옥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소피스트』편에서의 허위판단 가능성에 대한 논의
    Ⅲ. 맺는 말
    참고문헌


    초록

    플라톤은 그의 후기 대화록『테아이테토스』편에서 “허위판단은 가능한가?”라는 물음을 제
    기하고, 그 가능성을 타진해보지만 모두 난관에 부딪히고 만다. 이에 후속대화록인『소피스
    트』편에서 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논의를 전개하여 허위판단이 가능함을 논증해내는데 성공한
    다.
    그는 우선『테아이테토스』편에서 절대무로 해석해온 비존재를『소피스트』편에서는 ‘다름’
    이라는 의미를 갖고 존재하는 것으로 재해석한다. 그리하여 비존재도 어떤 의미에서 존재한다
    는 것이다. 다른 한편, ‘지식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답하기 위해 인식을 위한 기본조건을
    규명한다. 그것은 각기 다른 기능을 하는 두 요소, 즉 주어와 술어의 결합 형태인 명제이다.
    이것은 존재하는 것에 대한 서술 기능을 한다. 이처럼 명제란 주어와 술어가 결합한 복합 형
    태이므로 ‘다름’이라는 의미로 존재하는 비존재도 또한 명제의 한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그
    런데 명제가 형성되기 위한 필요조건은 형상들의 결합가능성이다. 만일 결합 가능한 형상들끼
    리 결합했다면 그것은 참명제이며, 결합할 수 없는 형상들끼리 결합했다면 그 결합은 허위명
    제인 것이다.
    이처럼 허위가 가능함을 보이려는 플라톤의 진의는 무엇일까? 소피스트들의 상대주의에 맞
    서 객관적 진리가 있음을 보이고자 하는 숨은 뜻이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허위판단
    에 대한 토론은 바로 지식개념에 대한 토론이다. 본고에서는『소피스트』편을 분석하여 이러
    한 그의 프로젝트가 그럴듯한지 검토하고, 이것의 현대적 의의를 헤아리고자 한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I consider the Plato's argument for the possibility of false
    judgement in Sophist with an analytic and critical method. The problem of falsity is
    proposed in Theaetetus, but Plato couldn’t solve the problem. Having noted failure
    there, Plato argues for the falsity in a different way in Sophist.
    First of all, he interprets not-being as difference in Sophist. Accordingly, not-being
    is seen to exist in a sense. Then he asks for the basic condition for knowing in
    order to answer what a knowledge is. His answer is that it is a statement consisted
    of subject and predicate, which makes knowledge possible. Not-being as difference
    can be an element of statement because the statement is a complex form composed
    of subject and predicate. A necessary condition for composition of statement is a
    combination power of Forms. Therefore, in case when the Forms have a
    combination power and are weaving together, they make a true statement. On the
    other hand, in case when the Forms do not have a combination power and yet are
    weaving together, they become a false statement.
    What does Plato intend to show through this process of proving the falsity? First
    of all, he wants to argue against sophists who always insist that statements must
    be true, because there are no false statements. So, Plato intends to demonstrate the
    existence of falsity in order to disprove sophists’ claims. Second, Plato intends to
    explicate the falsity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study of falsity is the study of
    knowledg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좋은 자료가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덕윤리과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05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