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자의 인터넷 외도 문제를 호소하는 부부치료 사례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가족치료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가족치료학회지 / 23권 / 1호
ㆍ저자명 : 최승미
ㆍ저자명 : 최승미
목차
Ⅰ. 서 론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사례 연구의 실제
Ⅴ. 결 과
Ⅵ. 논 의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외도 문제를 호소하는 30대 신혼부부에 대한 치료 사례를 분석하여, 주요 개입 전략 및 효과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부부갈등 예방 및 관계 증진을 위해 의사소통 훈련, 외도 문
제 이면에 자리 한 숨겨진 이슈 다루기, 부부의 긍정적인 경험을 계획, 실천하기, 부부 사이 헌신, 연
대를 위한 전략 개발하기 등이 한 축에서 진행되었으며, 다른 한 축에서는 부부간 그라운드 룰을 설
정, 이를 지켜나가는 것을 지지하고 확인하는 작업을 하였다. 그라운드 룰에는 인터넷 관련 행동 조절
을 위한 부부간의 규칙 설정과 갈등 촉발 요인을 차단하기 위한 행동 규칙 등이 포함되었다. 총 11회
기 동안 치료가 진행되었고, 결혼만족도, 부부관계적응도,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정도가 사전, 사후에
평가되었다. 평가 결과, 총 11회기가 진행되는 동안 남편과 아내 모두 결혼에 대한 전반적 불만족 수
준이 감소하였고, 부부관계 적응도는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인터넷 사용과 관련된 척도들에서는 사
전-사후 모두 정상군 수준을 보였다. 주관적인 보고에서도 전반적인 관계 향상이 보고되었으며, 특히
의사소통의 변화와 연대감, 헌신의 증진이 가장 중요한 변화로 지목되었다.
영어 초록
This research intended to discover the main intervention strategy and examine its effectivenessby conducting a case study on a married couple in their 30s who suffer from online infidelity. Methods:
Programs that gave communication training to prevent conflicts and improve relationship, dealt with
hidden issues other than infidelity, provided specific planning and action on expanding positive experiences,
and developed a strategy to enhance marital commitment and bond were conducted. At the same time, a
ground rule was discussed and established for the couples to follow, and the study supported and
confirmed that the rule would be faithfully adhered to. The ground rule included the couple's own policy
to control internet-related behaviors as well as codes of conduct that would contain factors triggering
conflict. A total of 11 sessions were conducted, and K-MSI, DAS, and the level of internet/smartphone
addiction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Results: As the therapy progressed, the overall level
of marital dissatisfaction decreased for both the husband and the wife, and the relationship adaptation level
increased. All measures related to the internet usage were the same as those of the normal group both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Conclusions: An overall improvement in relationship was seen through the
couple’s subjective report in the final session. In particular, changes in communication and the increase in
the level of bonding and commitment were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changes.
참고 자료
없음태그
"한국가족치료학회지"의 다른 논문
- 부모애착과 자녀 문제음주와의 관계에서 원가족 건강성의 매개효과17페이지
- 어린 시절 상처 치유 경험과 부부관계 변화과정 연구-내면아이치유 집단상담 참여 경험을 중심으로-33페이지
- 원가족의 역기능적 의사소통 방식으로 인해 대인기피증이 있는 딸에 대한 가족치료 사례연구:MRI의 의..22페이지
- 성폭력 경험 여성의 용서과정에 관한 연구30페이지
- 결혼초기 부부의 부부관계신념 지각과 적용이 배우자의 긍정적행동 만족에 미치는 영향22페이지
- 사티어 변형체계치료를 경험한 내담자의 변화과정 연구20페이지
- 다문화가족상담 인력 양성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다문화가족 대상 상담 업무 현황과 종사 인력의..25페이지
- 외도로 인한 이혼위기의 부부상담: 사례연구34페이지
- 이혼가족의 가족레질리언스 강화를 위한 가족캠프 프로그램 개발 연구31페이지
- 고등학생이 지각한 스트레스, 충동성 및 부모의 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2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