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1) 인쇄광고와 언어적 텍스트의 관계
2) 연구의 목적
2. 인쇄 공익광고의 텍스트
1) 커뮤니케이션 메시지로서의 텍스트
2) 구성에 따른 텍스트의 분류
3) 언어적 텍스트의 중요성
3. 언어적 텍스트의 구조적 분류
1) 광고문구의 분류
2) 음운론적 분류
4. 언어적 텍스트의 수사학적 분류
1) 어휘적 측면에서 수사학
2) 문장적 측면에서 수사학
3) 호칭을 통한 화용론적 분류
5. 결론
1) 정리
2) 효과적인 메시지 전달을 위한 제안
6. 참고문헌
본문내용
광고는 광고텍스트를 매개로 한 송신자와 수신자간의 커뮤니케이션이다. 광고를 라스웰(Lasswell, 1948: Fiske,1990에서 재인용)의 SMCRE 커뮤니케이션 모델에 대입해 본다면 앞선 정의는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에 따르면 커뮤니케이션이란 “누가 무엇을 어떤 채널을 통해 누구에게 어떤 효과를 가지고 전달하는가.”라는 구조에 초점을 맞추고,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모델에 수신자의 효과(effect)를 강조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와 같은 이론을 광고에 비추어보면 광고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광고주(S)는 자사의 제품을 소비자로 하여금 구매하게 하기 위해 광고제작을 의뢰하고, 광고제작사는 그 의뢰를 받아 제품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광고를 제작(M)한다. 이 광고는 보통 방송‧인쇄매체(C) 등을 통해 소비자(R)에게 전달되고 이 광고를 본 소비자는 제품 정보를 얻어 제품을 구매(E)한다. 즉 광고주(S)는 송신자, 제작된 광고(M)는 광고텍스트, 마지막으로 소비자(R)는 수신자에 해당하는 커뮤니케이션이 된다. 이때 이 광고라는 커뮤니케이션의 성패는 소비자의 구매여부에 의해 좌우된다. 즉 송신자의 의도를 수신자가 행하는가에 따라 성공과 실패를 판가름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광고를 제작하는 광고주나 제작사는 소비자로 대표되는 수신자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송신자의 의도에 부합하도록 설득하느냐가 최대의 관심사로 자리 잡는다. 이는 수신자의 설득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측면에서 설득커뮤니케이션으로 불리기도 한다. 그러므로 광고는 ‘수신자를 얼마나 잘 설득해 원하는 결과에 도달하게 하는가.’를 궁극적인 목표로 삼고 다양한 방법을 통해 그 설득의 효과를 올리고자 한다.설득의 효과를 올리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지만 앞서 언급한 SMCRE 모델에 의해 간략히 설명될 수 있다. 먼저 송신자(S)는 전달하려는 메시지를 명확하게 한다. 이 후 메시지(M)를 창조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구성하고, 소구대상에 밀접한 매체(C)를 선택해 수신자(R)에게 전달하여 원하는 효과(E)를 누리고자 한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메시지, 즉 광고 텍스트의 구성이다.참고 자료
고한준, “일상 생활에서의 광고 노출량 측정”. http://press.kookmin.ac.kr/site/main/view.htm?num=9999, 2011.김정현, “매체 신뢰도와 의구심 및 지각된 설득 의도가 설득 메시지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언론정 보연구』 45-1호 pp. 1-24, 2008.
남기심. 고영근,『표준국어문법론 개정판』 탑출판사, 1993.
문미선, “광고언어와 정체성 문화” 『독일문학』 제 123집 pp. 125-144, 2012.
백순봉, “공익광고의 텍스트 언어학적 분석” 한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8.
오장근, “텍스트 화용론적 광고읽기” 『언어과학연구 제27집』 pp. 223-246, 2003.
윤재연, “TV 광고텍스트의 장면 연구” 『한말연구 제30호』 pp. 105-136, 2012.
윤태진. 허현주. 문경원 역/마르타 스트러큰.리사 카트라이트, 『영상문화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이경자 외, 『현대사회와 광고』 한경사, 2009.
이병호, “광고 텍스트 비판적 읽기 연구” 상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9.
이현우, 『광고와 언어』 커뮤니케이션북스, 1998.
임지룡.김동환 역/F. Ungerer & H-J. Schmid, 『An introduction to cognitive linguistics』태학사, 2010.
장혜연, “인쇄매체 공익광고의 국어학적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1.
조병량 외, 『광고카피의 이론과 실제』 나남, 2010.
하봉준. 한희정, 『공익광고 종합 발전방안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