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장 지도성 개발 프로그램 적용 연구 -구성주의 기반 갈등관리 지도성 개발 프로그램-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 / 20권 / 3호
ㆍ저자명 : 진동섭, 이윤식, 유현숙, 김병찬
ㆍ저자명 : 진동섭, 이윤식, 유현숙, 김병찬
목차
요 약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II. 교장 지도성 개발 프로그램
1. 프로그램 구성 원리 및 구조
2. 프로그램 내용 및 과정
III. 적용 결과: 교장들에게 나타난 변화
1. "전교조에 대한 이해"
2. "다양한 현실에 대한 이해"
3. "갈등 해결 학습"
4. "교장으로서의 정체성 재확립"
IV. 구성주의 원리 적용의 의의와 한계
1. 의의
2. 한계
V.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구성주의 원리를 바탕으로 교장 지도성 개발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적용해보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을 적용해 본 결과, 교장들에게서 1) “전교조에 대한 이해”, 2) “현실에 대한 이해, 3) ”갈등해결 학습“, 4) ”교장으로서의 정체성 재확립“ 등의 변화가 나타났다.그리고 본 연구 결과 드러난 교장 연수 과정에 대한 구성주의 원리 적용의 의의를 보면, 1) 교장들의 자기주도적인 학습, 2) 현장 맥락중심 연수, 3) 동료들을 통한 유의미한 학습 등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장 연수 과정에 대한 구성주의 원리 도입은, 1) '새로운 방식에 대한 부적응', 2) '학습과제 선정의 어려움', 3) '행동이나 실천 변화로의 연계 문제' 등의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초록
We developed a principal leadership program based on the principle of constructivism as a case study of school consulting and applied it in SELP, Seoul National University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The results of the application of this program are as follows: 1) Principals developed their understanding of union teachers. 2) Principals catched the realities of the school and education. 3) Principals learned some solutions to solve the conflicts between principal and union teachers. 4) Principals established their identity as school leader in this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 for principals.
The introduction of the principle of constructivism leave some significances as following: 1) principals could have a chance to experience self-directed learning, 2) the program was practiced in the context of ground, 3) the principals experienced meaningful learning through colleagues, 4) the program was helpful for developing practical leadership, and 5) it was learning experiences being full of life. The introduction of it, however, left some limitation such as unfamiliarity to the traditional way of learning, lack in time and difficulty in connection with implementation.
참고 자료
없음"한국교원교육연구"의 다른 논문
- 학교규모와 학업성취의 관계 - 적정 학교규모의 탐색 - 22페이지
- 사범대학생의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23페이지
- 유치원 교사의 배경 변인과 교직 지향성 및 교직 지향 이유와의 관계 연구 17페이지
- 교육실습생의 갈등에 관한 분석연구 - 서울 · 경기지역 사립초등학교를 중심으로 -18페이지
- 교사평가의 공정성 확보방안 28페이지
- 웹 토론방의 수업사례 토론에서 유아교사들의 자기조절 학습능력 및 메시지 유형 24페이지
- 지식기반사회에서 정보 · 통신기술 활용을 위한 교사의 핵심역량 개발 21페이지
- 교사 자기평가에 의한 교수활동 수행 수준의 분석23페이지
- 교사에 대한 신문의 보도태도 분석 18페이지
- 효과적인 예비교사 현장실습 교육에 관한 연구 2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