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적 상호작용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 / 21권 / 2호
ㆍ저자명 : 오숙현
ㆍ저자명 : 오숙현
목차
I. 서론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문제
I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처리
IV. 결과 및 해석
1. 언어적 상호작용
2. 교사효능감
V.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언어적 상호작용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 유아교육 전공 대학생 30명이다. 실험집단 학생들에게는 언어적 상호작용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언어적 상호작용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언어적 상호작용 능력이 증진되어 적절한 발문 및 반응을 하는 경향이 증가되었다. 둘째, 언어적 상호작용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교사효능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연구결과에 따라 예비교사의 교사교육에 있어서 언어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교육의 중요성 및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이 제시되었다.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 program for verbal interaction and verify its effect to provide a method that helps preservice teachers to improve their ability for interacting verbally. Thirty students who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 university located in Gwangju province were sampled as subjects. Subjects of an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at was developed to improve ability for verbal inter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in the case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took part in the program for verbal interaction, the subjects' ability to interact verbally was improved, and consequently they had a tendency to be able to make appropriate questions and react properly. Secondly, the program was effective to help preservice teachers to develop their efficacy as a teach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implicated that, in training preservice teachers, it was required to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programs that helps to improve ability to interact verbally, and to develop a variety programs for it.참고 자료
없음"한국교원교육연구"의 다른 논문
- 초등학교 특별활동의 운영 실태 분석 -계발활동을 중심으로-20페이지
- 현행 교원평정제도의 문제점 분석 및 바람직한 교사평가제의 모습 25페이지
- 종교교사의 양성 및 연수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25페이지
-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기대와 평가, 교육실습을 통한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22페이지
- 미래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모형 탐색21페이지
- 전문대학 교수학습센터의 발달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방안 17페이지
-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학생들의 관점에서 본 공통사회 전공의 의미 27페이지
- 초등교원 양성교육과 현직교육 연계 방안 탐색 연구 29페이지
- 한국 교육정책 50년사 데이터베이스 구축 연구 : 분석체계 및 시스템 설계 22페이지
- 교육대학교에서의 통합교육 담당교사 교육의 방향2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