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 / 22권 / 3호
ㆍ저자명 : 서경혜
ㆍ저자명 : 서경혜
목차
I. 서론II. Schon의 반성론
1. 기술적 합리성의 한계
2. Schon의 반성론
III. 반성적 교사교육의 원리
1. 반성적 실천가
2. 앎과 실천
3. 개인 및 동아리 반성
IV. 반성적 교사교육의 문제
1. 반성의 위계화
2. 반성적 저널과 내러티브
3. 반성 기술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반성적 교사교육이 전통적 교사교육의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이때, 본 연구는 반성적 교사교육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반성적 교사교육이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첫째 반성적 교사교육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 Schn의 반성론을 고찰하고, 둘째 전통적 교사교육의 대안으로 대두된 반성적 교사교육이 지향하는 교사교육의 모습이 어떤 것인지 반성적 교사교육의 원리를 고찰하고, 셋째 최근 반성적 교사교육의 위기를 지적하고 그 문제를 고찰한 후, 마지막으로 반성적 교사교육이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한다.영어 초록
In recent years the reflective teacher education has been considered to be an alternative paradigm for teacher education that overcomes the problems of the traditional teacher education. The present study explores the fallacy and possibilities of reflective teacher education.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Schön's conception of reflection which provides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reflective teacher education.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guiding principles of reflective teacher education -- the reflective practitioner, the integration of knowledge and practice, and individual and group reflection. Third, this study describes the current crisis in the reflective teacher education and discusses the problems of reflective teacher education which includes the orders of reflection, reflective journals and narratives as the devices of reflection, and the technical and instrumental approach to reflection. Finally, this study explores the implications of the reflective teacher education for teacher education and argues that educating the reflective practitioner means to educate teachers to become action researchers, teacher educators, and collaborative learners.참고 자료
없음"한국교원교육연구"의 다른 논문
- 과학교실의 수업담화와 사회-과학적 규범의 특징: 초임 과학교사의 사례 연구 28페이지
-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관점에서 본 '심화과정' 이해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사회과 1학년 학생을 대..25페이지
- 초등학교 교사의 전문성 개발 척도 26페이지
- 일반교사들이 특수아 지도와 관련하여 필요로 하는 전문가 지원 17페이지
- 중등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 중 겪는 진로의식의 변화와 교직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20페이지
- 내러티브 활용을 통한 교과교육론 구성 방향의 탐색 27페이지
-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충실 지각과 성격 특성의 관계 25페이지
- 교사의 책무성 평가의 헌법적 타당성과 그 한계 23페이지
- 교원단체 이원화 정책의 변천과정과 개선방향 22페이지
- 생태 여성주의 시각에서 본 초등여교장의 역할과 진출 2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