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 중 겪는 진로의식의 변화와 교직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 / 22권 / 3호
ㆍ저자명 : 조현철
ㆍ저자명 : 조현철
목차
I. 서론II. 연구의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자료 처리 및 분석 방법
III. 연구의 결과
1. 교육실습 후 학생들의 진로의식 검사 결과
3. 교육실습 전 후간 진로의식 비교
IV.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의 과정을 통해 진로의식에서 어떤 변화를 이루는지, 그리고 그러한 진로의식의 정도가 실습 중 예비교사들이 겪는 교직 직무스트레스에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실증적으로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전북 지역의 2개 대학에서 교육실습 과정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진로정체성 검사와 진로성숙도 검사를 교육실습의 사전 및 사후에 실시하고, 또 사후에 교직 직무스트레스 검사를 실시하여, 각 대학별로 221명과 159명으로부터 유효한 응답지를 수거하였다. 자료에 대한 기술통계분석 결과, 교육실습을 마친 예비교사들의 진로의식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형성되어 있었으나, 만족할만한 수준에는 못 미치는 것이었다. 또한 2개 진로의식 변인의 각 하위척도에서의 사전과 사후 검사 점수에 대한 대응표본 t 검증 결과, 진로정체성의 4개 하위척도 중 3개와 진로성숙도의 5개 하위척도 중 하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승이 확인되었다. 이는 교육실습의 경험이 예비교사들의 교직 진로에 관련한 자신의 목표와 전망 및 재능에 관련한 정체성 확립에 도움을 주는 것은 확실하나, 그것이 각자의 진로에 관련한 여러 태도들을 크고 고르게 성숙시킬 수 있기에는 너무 짧고 제한된 것임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상관분석 결과, 교육실습 중 예비교사들이 겪는 교직 직무스트레스 중 일부의 요인은 그들이 유지하고 있는 진로정체성 및 진로성숙도와 의미 있는 관련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교육실습의 경험을 통해서 강화되는 진로의식은 예비교사들의 교단 적응을 위한 기초를 부분적으로나마 형성할 수 있음을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고 있다.영어 초록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empirically whether the secondary school student teachers experience any changes in their vocational attitudes and how these attitudes are related to job stress during the student teaching program. A vocational identity test and a vocational maturity test were administered to the student teachers drawn from 2 universities in Chonbuk Province just before the student teaching program. The same 2 tests were administered again after the program plus a job stress questionnaire. In sum, answers from 221 and 159 subjects from each university were analyzed as valid data. Paired t-tests of the pre and post program scores of vocational identity and maturity tests confirmed significant increases in 3 of 4 vocational identity subscales and in 1 of 5 vocational maturity subscale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student teachers' experience of the program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their job-related aims, visions and abilities, while that program is not so long and effective as to guarantee substantial progress in various aspects of their vocational maturity. Correlational analyses of the vocational attitude variables and job stress factors showed that some aspects of job stress felt during the program were substantially related to most vocational identity and many vocational maturity variables. This implies the importance the vocational attitudes hold over the adjustment in educational settings by the student teachers and the possibility that student teaching program helps the novice teachers to adjust smoothly in their job environments through its boosting effects on vocational identity.참고 자료
없음"한국교원교육연구"의 다른 논문
- 과학교실의 수업담화와 사회-과학적 규범의 특징: 초임 과학교사의 사례 연구 28페이지
-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관점에서 본 '심화과정' 이해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사회과 1학년 학생을 대..25페이지
- 반성적 교사교육의 허(虛)와 실(實)26페이지
- 초등학교 교사의 전문성 개발 척도 26페이지
- 일반교사들이 특수아 지도와 관련하여 필요로 하는 전문가 지원 17페이지
- 내러티브 활용을 통한 교과교육론 구성 방향의 탐색 27페이지
-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충실 지각과 성격 특성의 관계 25페이지
- 교사의 책무성 평가의 헌법적 타당성과 그 한계 23페이지
- 교원단체 이원화 정책의 변천과정과 개선방향 22페이지
- 생태 여성주의 시각에서 본 초등여교장의 역할과 진출 2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