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러티브 활용을 통한 교과교육론 구성 방향의 탐색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 / 22권 / 3호
ㆍ저자명 : 강현석, 유동희, 이자현, 이대일
ㆍ저자명 : 강현석, 유동희, 이자현, 이대일
목차
I. 서론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2. 내러티브 연구 동향과 선행 연구 분석
II. 내러티브 의미와 중요성
1. 내러티브 사고 양식의 의미
2. 내러티브의 중요성
III. 내러티브와 교육과정과의 관계
1.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가능성
2. 내러티브와 교과 수업의 관계
IV. 내러티브 활용을 통한 교과교육론 구성의 방향
1. 교육과정 목적
2. 교재 구성과 단원 재구성
3.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과 교사의 역할
4. 평가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교육의 핵심을 형식적으로 진술해보면 교사가 교과를 제대로 가르치는 일이다. 교과를 가르치는 일은 교과교육론 구성의 소재이다. 이 구성의 맥락에서 교사는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 기존의 교과교육은 합리주의적 패러다임에 편향되어 왔다. 최근에 브루너가 제안하는 내러티브 사고 양식은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 교과교육의 방향, 교사의 역할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해 준다. 내러티브의 교육적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고 그 구체적인 교과교육론 속에서 교사의 올바른 역할을 논의하여 새로운 교사론 구성의 가능성을 논의할 시점에 있다. 이제 교육학 분야, 특히 교사교육 영역에서 새로이 논의되고 있는 내러티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교과교육과 교사양성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suggestion and the implication of tentative theory on subject matter education through Narrative. There are many critics about the nature and tendency of the theory on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Narrative, in this study focuses on intention and motive, agency, and mode of thinking in context of teaching-learning. Bruner emphasizes narrative thinking as tool and conceptual lens considering curriculum design and teaching. In context of construing a subject education, teacher's role, and new notion of teacher preparation. From this work on narrative and narrative thinking has grown a new, perhaps a revolutionary insight. It is this: in theorizing about the practice of education in the classroom, you had better take into account the narrative that those engaged in teaching and leraning already have. In this article we suggest teacher's five roles in context of teaching and learning a subject. Theses five roles should be integrated into teaching-learning situation.참고 자료
없음"한국교원교육연구"의 다른 논문
- 과학교실의 수업담화와 사회-과학적 규범의 특징: 초임 과학교사의 사례 연구 28페이지
-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관점에서 본 '심화과정' 이해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사회과 1학년 학생을 대..25페이지
- 반성적 교사교육의 허(虛)와 실(實)26페이지
- 초등학교 교사의 전문성 개발 척도 26페이지
- 일반교사들이 특수아 지도와 관련하여 필요로 하는 전문가 지원 17페이지
- 중등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 중 겪는 진로의식의 변화와 교직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20페이지
-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충실 지각과 성격 특성의 관계 25페이지
- 교사의 책무성 평가의 헌법적 타당성과 그 한계 23페이지
- 교원단체 이원화 정책의 변천과정과 개선방향 22페이지
- 생태 여성주의 시각에서 본 초등여교장의 역할과 진출 2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