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고등교육의 질 구성요소 논의의 대안적 패러다임 탐색 : 교수의 '강의운영소감' 내용분석 사례를 중심으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 / 23권 / 1호
ㆍ저자명 : 김지현
ㆍ저자명 : 김지현
목차
요 약I. 대학 고등교육의 질 구성요소 논의와 동향과 한계
II. 대안적 패러다임탐색을 위한 위한 사례연구 : S 대학의 '신입생세미나'와 담당교수의 '서술형 운영소감'
1. 신입생세미나의 성격과 강의운영소감
I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내용분석
3. 응답 내용 분석과정
IV. 교육의 질 구성요소의 제 차원과 특징
1. 일반적 교육의 질 구성요소
2. 교수자 고유의 교육의 질 구성요소
3. 대학교 교육의 환경적 질 구성 요소
V. 논의 및 결론 : 고등교육의 질 구성 요소 탐색의 대안적 패러다임의 조건
참 고 문 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대학 고등교육의 질 제고에 대한 관심으로 교육의 질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한 탐색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존하는 교육의 질 구성요소에 대한 접근방식은 교육의 질 인식에 대한 객관주의적 관점과 교육에 대한 기능주의적 관점, 교육의 질에 대한 통제적 관심 등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교육의 질 논의의 대안적 패러다임을 탐색할 수 있는 가능성을 대학 교수들이 작성한 강의운영소감의 서술형 응답에 대한 내용분석의 사례를 통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강의운영소감 내용분석은 교수가 자신의 강의를 반성적으로 살펴보는 과정에서 직, 간접적으로 고려하고 있는 교육의 질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기존의 학생강의평가의 틀에 비추어 찾거나 새로운 요소로 성립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일차적으로 대학의 교수들은 보편적으로 학생들의 지식의 발달을 위하여 대학교육에서 강조하고 있는 일반적인 교육의 질 요소를 자신의 강의에서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에 더하여 교수자로서 교수들은 교육의 주체로서 가르치는 활동의 보람, 체험, 가르치는 활동에 필요한 지식의 수준 등과 같은 요소도 교육의 질적 요소로 유의미하게 고려하고 있는 차원을 보여주었다. 나아가 대학교라는 특정 상황에서 대학의 교수들이 교육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제반 환경적 차원의 요소들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수들의 강의운영소감 서술형 응답의 내용 분석의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추후 교육의 질적 요소에 대한 논의가, 교육에 참여하는 주체들의 관점에서 파악되는 교육의 질 요소를 고려하고, 교육의 내재적 가치에 착목하여 요소들을 파악하는 태도를 취하며, 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외부의 강요가 아닌 주체의 노력의 가능성의 인정 등을 의미 있게 다루는 패러다임의 성격으로 전환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였다.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new paradigm of researches on thefactors of quality of higher education. Under the current paradigm, most of the researches on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are being conducted within the limitation of epistemology of objectivism,
educational functionalism and in the interests of education control. Written comments about
'freshman seminar' courses made by professors were analyzed by using qualitative open-coding method
in ground theory. The analysis revealed that university professors generally recognized the students'
evaluation factors of educational quality of what the factors are that make up quality education in
general. Significant to the analysis is that professors considered such factors as 'intrinsic value of
teaching', 'unique teaching experience', 'continuity of th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e
quality of education of themselves'. It might be said that they regarded these factors make up the
quality of their education. Finally, professors also considered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course
as a relevant and critical ones affecting their teaching. These included class size, general status of
students, combination of students' character, administrative support, class regulations, economical
support, etc. This study indicates that future alternative paradigm of research on education quality
factors should consider the educators subjective views of education and its quality, the endogenous
view of the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and the autonomous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itself.
참고 자료
없음태그
"한국교원교육연구"의 다른 논문
- 학교조직문화와 교사효능감 및 학교조직몰입 간의 인과관계 분석 23페이지
- 학교조직의 특성에 비추어 본 학교 컨설팅의 가능성 탐색 24페이지
- 교원평가제에 대한 신문의 보도태도 분석 23페이지
- 미래의 교사교육 탐구 18페이지
- 효율적 교수-학습을 위한 학습스타일 진단검사 개발 23페이지
- 학교혁신, 리더 교사 그리고 평생교육 15페이지
- 신규교사 멘토링제의 운영 실제와 개선 방안 - 충청남도교육청의 사례 27페이지
- 수업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사평가 구성요소의 이론적 기초 28페이지
- 유아교사의 놀이교수 효능감이 유아의 가장놀이 사회적 수준과 교사의 놀이 개입 유형에 미치는 영향 19페이지
- 일본의 지도력 부족교사 평가시스템 분석2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