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Vivo를 활용한 전문가 교사와 예비 교사의 시각화 과정 특성 비교 분석 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 / 23권 / 3호
ㆍ저자명 : 허균
ㆍ저자명 : 허균
목차
요 약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시각화의 개념
2. 시각화 과정 관련 연구
3. 컴퓨터를 활용한 질적연구 도구: NVivo
III.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및 절차
3. 연구절차
IV. 연구 결과
1. 코드 체계의 범주화의 상호 코드 일치도
2. NVivo 코드 분석 및 인터뷰 결과
3. 코드의 이동 경향성
V.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정보와 자료가 급증하는 현대사회에서 교사의 역할은 단순 정보 전달에서 지식을 재창출하고 공유하는 활동이 기대된다. 특히, 교수학습 활동 현장에서 의도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직접 수업을 설계하고 자료를 준비한 풍부한 경험의 교사들은 그렇지 못한 예비교사에 비해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접근을 한다.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교사 3인과 초보자 예비교사 3인을 대상으로 수업활동을 위한 자료 제작과정에서 초기 아이디어 스케치 과정을 비디오로 녹화하여 컴퓨터 활용 질적분석도구인 NViv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전문가와 초보자의 코딩값을 중심으로 큰 차이가 나는 코드값을 비교하여 추가로 과제 참여자에게 인터뷰를 실시하여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연구 결과로 분석을 위한 코드 분석 범주 체계를 도출하였다. 분석 범주 체계를 바탕으로 NVivo 코드 분석 결과 최초의 상부 5개의 노드와 하부노드(72개+자유노드)들은 최종 5개의 대분류 코드와 49개의 세부 코드로 압축할 수 있었다. 코드 분석 결과로 전문가 교사는 분석단계보다 결정단계에서 초보자보다 정교한 시각화 활동을 하였다. 정교한 시각화 활동으로는 다이어그램, 박스, 예시 들기 등의 시각적 전략을 사용하였다.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characteristics of visualization process between experts and novices. The methods and procedures of the study involved the following steps: (a)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s of visualization process, the concept of visualization and the aspect of understanding, design, presentation were examined. (b) NVivo was used as collecting and analyzing tool in order to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c)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ree experts and three novices. While participants were performing the visualization tasks, the data were generated. The generated data has been collected by means of audio and video device. Findings from NVivo code analysis were as follows: Although both experts and novices used the visual strategy during their visualization process, there were significant qualitative differences. Whereas experts used visualization strategies such as simple abstract, diagram, metaphor, analogy, table, and so on, novices used the strategies such as paragraphic abstract, sophisticated abstract, and tables. Unlike novices who mainly focused on analysis and conceptualization or the tasks, experts were utilizing diverse visualization strategies. The findings suggested that education on visualiz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should focus on use of metaphor, diagram or table instead of precise summary on contents.참고 자료
없음"한국교원교육연구"의 다른 논문
- 교원교육기준기반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29페이지
- 예비 초등교사의 인지전략에 대한 자기결정성 동기의 상대적 기여도 분석 19페이지
- 특수학교의 중·고등부 교사문화 분석 24페이지
- 개인적 실천 지식으로서의 교수기술의 의미와 형성과정 탐색 21페이지
- 소외 영재 지도교사의 성공적인 지능 교수효능감 20페이지
- 교원의 정보통신기술(ICT) 활용 촉진요인에 관한 연구 24페이지
- 표준기반 교원평가와 전자포트폴리오의 역할: 미국사례 연구 24페이지
- 학교장의 리더십과 학교조직가치 결합유형 간의 인과관계 분석 24페이지
- 역대 정부의 사립학교법 개정과정에서 나타난 교육정책결정구조 분석 20페이지
- 유치원에서의 장학요원 효능감에 따른 원내 임상장학의 특성에 관한 연구 2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