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 / 28권 / 1호
ㆍ저자명 : 부희영
ㆍ저자명 : 부희영
목차
Ⅰ. 서 론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교사 평가들의 준거를 분석하여 평가 도구를 통합하면서 인사와 전문성 신장이라는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보았다. 또한 교
사 평가 준거 개발을 위해 교육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체계화, 객관화하였다.
교사 평가 제도, 교사 평가 준거, 다면 평가 등에 대한 주요 이론들을 살펴본 후 1, 2, 3차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평가 주체별 교사 평가 준거(동료 교원에 의한 평가, 학생에 의한 평
가, 학부모에 의한 평가)를 도출하였다.
교사의 기본 자세, 전문성, 사회적 관계 등을 다면적이고 총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개
발된 본 연구의 평가자 주체별 교사 평가 준거는 교육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평가
준거가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는 경제성과 효율성을 추구하여 다원적 교사 평
가 제도의 평가 요소들을 통합하였다는 점과 다면 평가형 교사 평가로서 교사 평가 준거를
객관적이고 구체적으로 구성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영어 초록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the two significant ends of theimprovement of speciality and of human management, analysing the current standards for
the evaluation of elementary teacher evaluation and unifying the evaluation tools. It also
developed an evaluative standard, which is education experts organized by the General,
were objectified.
In order to solve the aforementioned problems and to develop valid standards for teacher
evaluation, I performed the following researches. First, I examined major theories of the
system for teacher evaluation, of the standard for the evaluation and of multi-dimensional
evaluation. Secon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rough the first, second and
third Delphi-method researches, I developed standards for the evaluation of teachers.
To summarize, it seems that the evaluation standards, which, as a part of this study, were
developed for a multidimensional and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eachers. Finally, I
confirm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the schemes according to the
factors relevant to each evaluating body. A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eem to show,
it has unified evaluative elements constitutive of the system for teacher evaluation, and
formed a standard for multi-dimensional teacher evaluation in an objective and specific
manner.
참고 자료
없음태그
"한국교원교육연구"의 다른 논문
- UCC 활용 영어 수업 경험 집단과 비 경험 집단의 참여의도 차이 분석29페이지
- 만 2세 영아의 또래간 갈등에서 교사의 개입 전략과 교사의 개입 전략에 따른 영아의 상호작용 전략 ..22페이지
- 교원성과상여금의 '사익과 공익'에 대한 공공선택론적 탐색24페이지
- 교사 특성이 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분석- TIMSS 2007의 교사 전문성 계발 노력 변인..24페이지
- 교육전문직의 역할에 대한 AHP 분석22페이지
- 교육대학과 초등학교간 협력(PDS) 프로그램 운영의 쟁점에 관한 내부자 연구30페이지
- 만 1세반 자유놀이시간에서의 영아 - 교사 상호작용과 교사 민감성 분석27페이지
- 온라인 교사공동체의 협력적 전문성 개발:인디스쿨 사례연구29페이지
- 책날개 독서지도 연수의 효과: 초등교사의 성별에 따른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20페이지
- 한국 청소년의 교우관계 결정요인 분석:자아개념, 부모관계, 교사관계, 교우스트레스를 중심으로2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