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공동체가 교사몰입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 / 28권 / 2호
ㆍ저자명 : 박정주
ㆍ저자명 : 박정주
목차
Ⅰ. 서 론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교사공동체와 교사몰입의 관계를 교사효능감이 어떻게 매개하고 있는지, 개인 수준과 집단 수준의 교사효능감이 매개효과에 차이를 보이는 지
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주요한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교사공동체로 조직화된 학교
에서 나타나는 가치·규범의 공유와 협동적 풍토는 교사몰입에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
다. 교사들은 공동의 목표를 확인하고 서로에게 유용한 정보와 기술을 교환함으로써 조직에
대한 애착을 높이고 교직에 헌신하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교사효능감은 개인 수준과 집단
수준 모두에서 교사공동체와 교사몰입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고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개인 수준과 집단 수준의 교사효능감을 강화함으로써 교사공동체의 교사몰입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집단 수준의 교사효능감이 개인 수준의 교사효능감
보다 더 큰 매개효과를 나타냄으로써 교사공동체에 대한 인식이 개인적 교사효능감보다는 집
단적 교사효능감의 판단에 강력한 자원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교사공동체가
단순한 개인의 합 이상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조직 속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ercommunity, teacher commitment and teacher efficacy. In this study, teacher efficacy is set up
as mediate variables and input separately by levels(individual and group). The teacher data
was from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05(KELS 2005).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eacher community have influence on teacher
commitment. In the teacher community, teachers share value of school and cooperate each
other. Teachers are immersion in their work by this collaboration and sharing. Secondly,
both self-teacher efficacy an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re mediator of relationship of
teacher community and teacher commitment. The more teacher efficacy(self and collective),
the more influence of teacher community on teacher commitment. Thirdly, collective teacher
efficacy's mediate effect is larger than self-teacher efficacy's. This fact explains that teacher
community is powerful resource of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n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has synergy effect surpass a simple synthesis of individual's ability. So I propose that
teachers should have group enablement to reinforce collective teacher efficacy.
참고 자료
없음태그
"한국교원교육연구"의 다른 논문
- 교감의 역할과 교감직의 특성에 대한 질적 분석25페이지
- 대학정보공시제 정책분석 및 효율적 운영방안 탐색24페이지
- 교장공모제 학교의 학업성취도와 특성 분석28페이지
- Lakatos의 발견법을 기반으로 한 인지적 수업모형 제안29페이지
- 초등학교 교원의 세대 간 상호인식도와 세대갈등에 대한 조사연구25페이지
- 교육 책무성 정책에 의한 교직변화에 대한 구조적 분석20페이지
- 자율형 사립고 사회적 배려 대상자 선발제도에 대한 교원 인식 분석23페이지
-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심리적 안녕감과 협동적 조직문화23페이지
- 프로젝트 중심 통합교육과정에 나타난 영유아반 교수활동 분석25페이지
- 사범대학 학생들의 문화성향과 다문화적 교사효능감 관계 연구2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