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평가정책 추진과정의 영향요인 분석: 시차적 및 정책네트워크 관점을 중심으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 / 29권 / 1호
ㆍ저자명 : 신상명, 류민영
ㆍ저자명 : 신상명, 류민영
목차
요약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학습
2. 학습양식
3. 온라인 토론환경으로서의 페이스북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검사도구
3. 연구 설계 및 절차
4. 자료분석
Ⅳ. 연구 결과
1. 연구 문제 1: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에서 학습양식과 매체환경에 따라 게시물의 수에 차이가 있는가?
2. 연구 문제 2: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에서 학습양식과 매체환경에 따라 메시지 유형에 차이가 있는가?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교원을 평가하는 세 가지 정책의 추진과정을 정정길의 시차적 시각과 Marsh와 Rhodes의 정책네트워크 관점에서 분석하여 정책추진과정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장기적 변화요소는 정책참여자의 의식변화 및 참여와 통합성의 정도이고 단기적 변화요소는 정책에 대한 권한부여와 정보공유 정도이다. 둘째, 능평제가 전문성 신장으로 전환되면서 성과급제와 상호보완적 관계의 선행정책이 되어 교원단체의 지지를 받지 못했다. 셋째, 능평제는 기존의 쟁점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면서 정책추진이 더디게 이루어졌다. 넷째, 변화의 속도로 보면 근평제, 성과급제, 능평제 순으로 빠르고 안정성은 근평제, 능평제, 성과급제 순으로 높다. 다섯째, 전문성의 타당성을 지향하는 능평제는 숙성기간이 상대적으로 길다. 따라서 새로운 정책 추진 시 관련되는 기존 정책과의 영향요인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impact factors related to three policies' propulsive process by analyzing Policy Network from a Time Lag perspective on Teacher Evaluation Policy propulsive proce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factors of a long-term change are participants' consciousness an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and integration. The factors of a short-term change are empowerment and the degree of information sharing on the policy. Secondly, Competence Evaluation System(the following is'CES') was not supported by teachers' associations because it became the preceding policy as a complement to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the following is 'PES') by changing into an expertise improvement. Thirdly, the propulsive process of CES took a long time because established issues maintained continuously. Forthly, the order of changing fast is Work Evaluation System(the following is 'WES'), PES and CES. The order of high stability is WES, CES and PES. Fifthly, maturation of CES is relatively long because it aims the validity of the expert. So the analysis of impact factors related to established policies has to precede when a new policy pushes.참고 자료
없음태그
"한국교원교육연구"의 다른 논문
- 교사와 학생이 지각하는 디지털교과서의 교수학습 적합성 평가 및 개선방안 27페이지
-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초등학교 고학년의 교사애착에 대한 예측변인에서의 남녀 차이 22페이지
- AHP를 활용한 학력향상 방안의 우선순위 분석: 학력향상형 창의경영학교를 중심으로 21페이지
- 교원 행정업무 부담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26페이지
- 유아들의 경쟁을 유발하는 교사의 전략과 전략사용 이유 22페이지
- 공모제 교장의 권력기반과 관리효과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시 초등학교 임명제 교장과의 비교를 중..29페이지
- 미래 교육의 관점에서 본 2009 개정 교육과정 16페이지
-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에서 학습양식과 매체환경에 따른 예비교사들의 토론 참여 양상 분석 26페이지
- 영어 원어민 보조교사의 학교 적응 전략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30페이지
- 대학생의 학과교수 만족도 구성요인 타당화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분석 2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