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에 대한 학생의 평가가 수업 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교원능력개발평가에의 함의를 중심으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 / 29권 / 2호
ㆍ저자명 : 김정현, 박소영
ㆍ저자명 : 김정현, 박소영
목차
요약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교원능력개발평가
2. 수업 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관한 선행연구
III. 연구 방법
1. 분석 자료
2. 분석 방법
IV. 연구 결과
1. 수업만족도
2. 학업성취도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교원에 대한 학생 평가가 수업 만족도와 학업성취도 향상이라는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여, 교사에 대한 학생평가의 의미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대한 문제의식은 현재 시행되고 있는 교원능력개발평가 중 학생 평가의 유용성 및 타당성에 대한 논란에서 시작되었다. 학생 평가가 불필요하며, 그 결과가 유용하지도 않다는 교원 집단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교원에 대한 학생 평가는 검증 과정 없이 지속되고 있다. 현장 수용도가 낮고, 교원이 신뢰하지 않는 평가는 행정력의 낭비일 뿐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궁극적인 목표 중 하나인 수업 만족도와 학업성취도 향상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여, 학생평가가 갖는 의미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에 대한 학생 평가는 학생의 수업 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향후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평가 주체, 평가 내용, 평가 활용 등과 관련하여 개선안을 도출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해준다.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teacher evaluation by students on class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that are regarded as school outcomes. The research begins with the questions about the right person to evaluate teachers. New teacher evaluation system is introduced with little agreements on participants, contents, and usages of the new system, which results in conflicts and confusions on a school site. In spite of animosity from teachers, the policy with new system is implemented and continued with no effectiveness in term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If new system has no effects on teacher's development, does it help to improve educational outcomes? If so, it might be meaningful in a way. The research begins with these assumptions. The research results shows that new teacher evaluation by students in effect improves students outcomes. In other words, teacher evaluation results by students positively affect students' class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The results implies that the teachers and policy makers need to discuss modification of the teacher evaluation to improve effectiveness of the system.참고 자료
없음태그
"한국교원교육연구"의 다른 논문
- A Review of Literature :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35페이지
- 학교조직 진단 도구 개발 및 타당화 30페이지
- 교원임용시험 준비경험이 교직취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24페이지
- 예비교원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한 교원양성기관의 해외 현장경험 프로그램 분석 25페이지
- 새로운 과학의 본성 흐름도를 바탕으로 한 과학의 본성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믿음 탐색 : 별의 분광형..31페이지
- 진로교육과 교사 심리적 배경의 자기회귀 및 교차지연 효과 분석22페이지
- 직무분석을 통한 교원의 적정 업무량 산정 방안 24페이지
- 좋은 수업을 위한 수업컨설팅의 새로운 방향 탐색 26페이지
- 중등 교원정원 결정을 위한 지역군집모형 개발 25페이지
- 협력적 프로젝트 교수-학습 방법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2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