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교사의 음악적 개념에 대한 자기인식과 실제이해 간의 관계 및 변인별 차이 분석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 / 30권 / 1호
ㆍ저자명 : 김난실, 권수현, 이승연
ㆍ저자명 : 김난실, 권수현, 이승연
목차
Ⅰ. 서 론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음악적 개념에 대한 보육교사의 자기인식과 실제이해 정도를 비교하고, 다양한개인적 변인에 따른 실제이해 정도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어
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98명이었으며, Kim 등(2011)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음악적 개념에 대한 자기인식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제이해 점수는 이보다 크게 낮아 자기인식과 실제이해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
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자기인식과 실제이해 간에는 전반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
었다. 둘째, 보육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 정도에 차이가 있
는지를 살펴본 결과, 음악관련 현직교육 유무를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음악적 개념 전체와
일부 하위 개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경력이 3년 미만이고, 교육정도가
4년제 대졸 이상이며, 근무기관이 직장어린이집이고, 양성과정에서 음악관련 수업을 들은 경
험이 있으며, 음악을 매우 즐기고, 악기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에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가 높았다.
영어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compare childcare teachers’ self-perception withtheir actual understanding of the musical concepts and (2)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their actual understanding according to six major variable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98 teachers working in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research tool developed by Kim et al. (2011).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hildcare teachers’ perceived knowledge in the musical concepts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ir actual knowledge. Howeve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perception and actual understanding of the musical
concepts. Second, in terms of the teachers’ actual understanding of the musical concepts
according to the variabl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of the variables except
for in-service education on music. In other words, in general, the teachers who had shorter
teaching career (under 3 years), had higher educational level (university graduation or
above), were working in employer supported childcare centers, had taken music education
related course(s) during pre-service education years, enjoyed music truly, and had learning
experiences in musical instrument playing had higher understanding about the musical
concepts.
참고 자료
없음"한국교원교육연구"의 다른 논문
- 초 · 중등교사의 교육정보 공유체제에 대한 신뢰가 지속적 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23페이지
- 교육 목표 모호성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과 적응에 관한 연구26페이지
- 대학수업 개선을 위한 수업에서의 동료평가 프로그램 도입 방안 탐색30페이지
-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결과와 학교 특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22페이지
-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과학 관련 활동 분석24페이지
- 예비 일반교사가 지각하는 특수교육교사의 이미지 분석21페이지
- 학업적 보상과 교육격차 감소에 대한 학부모 학교참여의 영향: 강남과 비강남 교사들의 인식 차이를 중..28페이지
- 교원 인적자원 배분의 관점에서 본 초빙교사제 시행 학교의 특성 분석23페이지
- 한국 교사교육자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셀프 연구(Self-study)의 도입22페이지
- 학교컨설팅 변화 과정의 단계별 특징 분석3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