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시민성 함양을 위한 고등학교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사회과교육연구 / 22권 / 1호
ㆍ저자명 : 박선웅, 우현정
ㆍ저자명 : 박선웅, 우현정
목차
I. 서 론II. 고등학교 다문화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
III. 고등학교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IV. 결 론
주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 시민성을 함양하기 위한 고등학교 다문화 교육과정 구성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정을 서술한 것이다. 문화상대주의에 입각하여 문화 다양성 및 문화 차이 이해에 중점을 둔 기존의 다
문화교육 프로그램과 달리, 본 연구는 문화상대주의 관점뿐만 아니라 문화 간 차이가 차별과 불평등을 초
래하는 기제에 대한 이해와 문제 해결을 포괄하는 다문화 시민성을 학교 다문화교육의 일반 목표로 설정
하였다. 이에 기반하여 고등학교 수준에 적합한 학교 다문화교육의 핵심 목표 설정과 내용 체계 구성 및
구체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시도하였다.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의 일반적인 구성 체계에 착안하여, 프로그
램을 ‘단원명-학습목표-생각열기-본문-탐구활동’을 모듈로 한 소단원으로 구성하였다. 이후 시범 적용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해 학교급별 적합성 및 내용 타당성을 평가받았으며, 최종적으로 문화 권력, 시민권,
연대의식 등의 내용을 포괄하는 4개의 대단원, 12개의 소단원으로 구성된 고등학교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을 확정하였다.
영어 초록
This study is aimed to illustrate the process by which the multicultural curriculum andeducation program have been developed for the cultivation of multicultural citizenship of high
school students. Unlike the existing multicultural programs that put an emphasis on cultural
diversity and difference on the basis of cultural relativism, this study establishes a general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erms of multicultual citizenship which refers not only to cultural
relativism but to understanding the mechanism by which cultural difference leads to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and solving those problems. For that purpose, this study makes an attempt at
establishing the core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structing the content system, and
developing the program relevant to the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Based upon the general
framework of social studies textbook in high school, the program consists of ‘Unit Title, Lesson
Objective, Raising the Question, Body, Inquiry’ as the module of sections. It has been revised after
the example application and the professional advice on the relevance to the level of high school and
the content validity. The program is finally composed of 4 chapters and 12 sections dealing with
cultual power, citizenship, solidarity and etc.
참고 자료
없음태그
"사회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
- 텍스트 프레이밍 방식이 빈곤문제해결 행동의도에 미치는 효과19페이지
- 사회과 교사의 정치성향에 따른 공공쟁점 중심 토론학습에서의 균형 역할 지향성 분석17페이지
- 고등학교 사회교과서 지리 영역 텍스트의 상호텍스트성 분석19페이지
- 중등 사회과 예비교사의 교육봉사 참여동기 유형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북지역 D대학교를 대상으로..15페이지
- 초등 사회과수업에서의 내러티브 활용 양상 탐색19페이지
- 초등 예비교사의 역사 수업 구성에 나타난 ‘역사적 의의’28페이지
-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에서 사회과교육의 역할과 한계13페이지
- 동북아의 지역 갈등과 지구촌 시민교육의 과제15페이지
-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글로벌 시민성 분석-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16페이지
- 생태적 다중시민성을 지향하는 사회과 핵심 과정-사고와 행동의 연계-1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