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가족지원을 위한 가족치료 도입에 관한 고찰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발달장애학회
ㆍ수록지정보 : 발달장애연구 / 18권 / 3호
ㆍ저자명 : 강영주
ㆍ저자명 : 강영주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Ⅱ. 연구 방법
Ⅲ. 장애인 가족의 심리적 부담감과 특성
Ⅳ. 장애인 가족지원 및 가족치료의 효과
Ⅴ. 가족 상담의 이론적 탐색과 방법
Ⅵ.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한국어 초록
가족치료는 상담의 대상을 개인으로만 보던 학계에 가족역동의 중요성이 제기되면서발전되기 시작하였다. 가족치료의 효과가 보고되면서 장애인 가족지원에 가족치료의
적용 가능성이 시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장애인 가족지원
에 있어 가족상담의 효과적인 방법을 알아보아 활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아
울러, 장애인 가족의 심리적 부담감과 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에 대해 살펴본
다. 나아가서 가족치료의 이론적 탐색과 방법을 살펴보았다. 또한 실천적 연구를 대상
별로 분류하여 장애인 가족지원과 가족 상담에 관한 프로그램 효과를 살펴보았다. 결
론적으로 장애아동의 가족의 심리적인 부담감을 줄여주고 장애아동을 수용하고 적응
해 나갈 수 있도록 지속적인 상담이 요구된다. 회기 진행 중 단발성이라도 전 가족이
참여하였을 경우 가족의 응집력과 적응력, 가족관계 개선, 즉, 부모와 아동간의 상호작
용, 아동의 사회성 향상 등에 효과적이다. 가족치료의 효과적인 방법은 장애인 가족치
료에 활용 가능성을 시사해주고 있다. 향후 보다 효과적인 장애인 가족지원을 위한 체
계적인 가족치료 방법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영어 초록
Family therapy has been developed since the importance of family dynamicssuggested in academic field that only individuals were regarded as client in
therapy. After the effectiveness of family therapy were reported,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in family therapy as family support for family with
disability has been suggested.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for the effective ways of family
therapy as family support for family with disability.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d burden of families with disabilitie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n, effectiveness of programs for
family support for family with disability and family therapy was explored
through classification of empirical study. As a result, continuous counseling
is required to reduce psychological burden of family with disability and
accept and help adapt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y. It is effective to family
cohesion, adaptation, improvement of family relationship, in other words,
interac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improvement of children's
sociality when all family members were participated in even one session
during treatment period. The effective way of family therapy suggest a
possible application of family therapy for families with dis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