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아전문 어린이집 평가인증지표의 적절성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조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발달장애학회
ㆍ수록지정보 : 발달장애연구 / 18권 / 3호
ㆍ저자명 : 김윤아
ㆍ저자명 : 김윤아
목차
Ⅰ. 서 론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어린이집 평가인증 3차 시행을 앞두고 현재 적용하고 있는 장애아전문어린이집 평가인증지표의 적절성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3차
평가인증지표 개발 시 장애아전문 어린이집의 특성이 더욱 고려될 수 있도록 필요
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 장애아전문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원장과 보육교사(특수교사 포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 대상은 총 119명(원장 44명, 보육교사 36명, 특수교사 39명)이고,
보육교직원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장애아전문 어린이집에서 종사하고 있는 보육교직원은 현재 적용하고 있는
장애아전문 어린이집 평가인증지표에 대해 전반적으로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다만, 보육환경 지표 중 ‘교사를 위한 공간’항목에 대해서는 많은 교사
수로 인한 공간 확보의 어려움 및 장애 영유아 보육 특성상 일과 중 공간 활용의 어
려움 등의 이유로 보통에 가깝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초록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how child-care center staffs perceivethe current accreditation index of child-care center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 offer basic information in developing the third index of
child-care center accreditation. A nationwide survey targeting principles and
teachers (including special educators) working in child-care faciliti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Korea was implemented and the subjects were a
total of 119 (44 principles, 36 teachers, 39 special educator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used to explain the perception of child-care staffs
on the current accreditation index for child-care center for disabled childre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ild-care staffs perceived the current index of
child-care center accreditation for disabled children were adequate in general,
however, reported ‘space for teachers’ among the child-care environment
index as moderate by the reasons of difficulties in securing space due to
relatively large number of staff compared to given space and difficulties in
space utilization during the daily operation hours due to the nature of
working with disabled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