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Ⅱ. 자료 현황
Ⅲ. 시간대별 교통량 분포 특성
Ⅳ. 교통량 분포 유형별 분석
Ⅴ. 결론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초록
각 행정구역의 시계유출입지점은 지역간통행의 연결고리로서 중요한 지점이고 각 지자체 별로 지역내 교통정책이나 계획은 철저한 반면 시 계유출입지점에 대해서는 예산이나 관리ㆍ운영의 책임문제로 소홀히 해왔던게 사실이다. 현재는 광역권(광역시가 포함된 주변 영향권)별로 묶어 ITS사업이나 대중교통사업 등은 종합적으로 계획 및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도 도로확장 및 신설의 계획 등은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런 지점에 대해서는 중앙정부 차원에서 종합적인 교통계획을 수립하고 세부 정책을 제시하여 예산 지원 및 시설 확충 등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시계유출입지점에 대한 통행의 분포를 미리 규명하고 분석하여 구체적인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제시하여야 한다.
기존의 연구는 주로 시외유출입지점의 교통량을 기반으로 두 지역간의 통행량을 예측하는 확률 모형을 개발하였으나(예 : Anderson. 2005) 구체적인 시외유출입지점의 시간대별 교통량 특성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