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들어가며
Ⅱ. 인터넷 중독에 대한 이해
Ⅲ. 인터넷 중독 실태
Ⅳ. 인터넷 중독의 예방 및 해소를 위한 정부의 대응 노력
Ⅴ. 나가며
초록
2010년 5월 현재 만 3세 이상 국민의 77.8%, 약 3, 701만 명이 인터넷을 이용할
정도로 이제 인터넷은 유아와 청소년, 성인 등 모든 사람들에게 학업, 업무, 커뮤니
케이션뿐만 아니라 여가를 보내는 필수 수단이 되었다(방송통신위원회, 한국인터넷
진흥원, 2010). 따라서 인터넷 중독은 인터넷 이용이 일반화되면서 나타난 새로운
사회적 문제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문제는 인터넷 중독 문제가 일부 청소년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아동1)과
성인에 이르기 까지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고, 그에 따른 사회․경제적 폐해가 막
대하다는 것이다. 인터넷 중독자들에 의한 살인 등 관련 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또
한 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이들로 인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는 사회․경제적 비용
도 약 7조 8천억원∼10조 1천억원에 달한다. 사실 인터넷 중독에 의한 개인적․사
회적 부작용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정부의 대응정책은 정보화 촉진 및 IT산
업진흥정책에 비해 소극적이었고 재정적 투자도 미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