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헬스에 미치는 ‘크리스토퍼 리브’와 ‘다나 리브’의 효과 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ㆍ수록지정보 :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 7권 / 1호
ㆍ저자명 : 진범섭, 이선미
ㆍ저자명 : 진범섭, 이선미
목차
IntroductionReview of Literature
Hypotheses and Research Question
Study One
Analyses and Results
Study Two
Analyses and Results
Discussion
References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유명인 동일화(celebrity identification)와 준사회적 상호작용(parasocial interaction)의 개념을 바탕으로, 유명인과의 동일화 과정이 공공
헬스 이슈에 대한 개인의 관심 및 태도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재활 운동과 척추 연구, 의료 보호 확대를
요청하는 사회운동을 벌였던 슈퍼맨의 주연인 크리스토퍼 리브와 다나 리브
사례를 이용하였다. 미국 대학생 표본을 대상으로 두 번의 횡단적 서베이를
통해 유명인과의 동일화와 준사회적 상호작용과 관련된 효과를 측정하였다. 첫
번째 서베이결과에서는 크리스토퍼 리브와의 동일화가 개개인의 건강보험
커버리지, 척수 이상에 대한 연구, 줄기 세포 연구에 대한 법 제정 여부에
대한 관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 두 번째
설문에서는 크리스토퍼 리브와 다나 리브와의 동일화가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지지하려는 개인의 태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적합한 유명인 홍보대사를 선택을 통해 공공 헬스 캠페인을
효과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는 점을 밝히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영어 초록
Based on celebrity identification and parasocial interaction, this study assessedwhether the celebrity identification process affects individual concerns with and
attitudes toward public health issues. Two different cross-sectional surveys asked
American college students to complete items related to identification and parasocial
interaction with Christopher and Dana Reeve. The findings of the first survey
indicated that identification with Christopher Reeve led to individual concerns with
health insurance coverage, research on spinal cord injuries, and legislation to legalize research on stem cells. The second survey also revealed that identification with
Christopher and Dana Reeve resulted in individuals’ positive attitude toward
support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e disabled. The study provides implications that
public health campaigns can be effectively devised by the proper selection of
celebrity endors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