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사회복지실천가의 현장슈퍼비전 현황과 발전 방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ㆍ수록지정보 : 학교사회복지 / 24권
ㆍ저자명 : 홍순혜, 안정선, 조성심, 엄경남, 방진희
ㆍ저자명 : 홍순혜, 안정선, 조성심, 엄경남, 방진희
목차
Ⅰ. 서 론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한국어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사회복지실천가를 양성하기 위한 현장슈퍼비전의 현황을 살펴보고, 현장슈퍼비전을 진행하는데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 검토하여 현장슈퍼비전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들
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2년 7월말부터 9월초까지 전국 11개 시.도의 학교사회복지
실천가를 대상으로 이메일과 직접 방문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학교사회복지사 및 지역
사회교육전문가 89명, 프로젝트조정자 12명이 응답에 참여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슈퍼비전 현황은 슈퍼비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며 슈퍼바이저의 역할에 대한 혼선이
있고 슈퍼비전 체계 및 지침이 공식적으로 마련되어 있지 못하며 슈퍼비전의 빈도도 비정기적
인 경우가 많았다. 학교사회복지현장에 적절한 슈퍼비전 모형과 방법의 개발이 미흡하고 동료
및 집단슈퍼비전에 치중되어 있으며 공식적인 슈퍼바이저 양성과정이 준비되어 있지 못하고
슈퍼비전을 제공하기 위한 슈퍼바이저의 역량 미흡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었다. 또한 슈퍼바이
지들의 경험과 역량의 차이가 심해 슈퍼비전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점이 공통적으로 보고되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슈퍼바이저의 자격요건, 슈퍼비전 활성화 방법, 슈퍼바이
저 양성과정 개발, 슈퍼비전 모형 및 지침마련 등의 다각적인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영어 초록
This study intends to review the status of field supervision to bring up school social workers and figure outthe strategy to activate field supervision with the analysis on the issues at field supervision.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 searches by e-mails and direct visits were conducted for 89 school social workers and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s and 12 project coordinators from the late July to the early September 2012
over 11 cities.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there are lack of understanding the definitions and roles of
Supervision at School Social Work Supervision Field and systems and orders for Supervision are not set up.
There are no appropriate models and development for the solutions for Supervision at School Social Welfare,
only for the Group Supervision. And, there are no official educations courses for Supervisors and the
qualification of Supervisors to provide Supervision is also an problem. In addition, it is reported that it is very
hard to provide Supervision due to the big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ences and capability. Consequently,
this study presents the Supervisor Qualification, the Supervision Activating Method, the Development Plan for
Supervisor, the Model and Standards for Supervision as the solutions to achieve the goals.
참고 자료
없음태그
"학교사회복지"의 다른 논문
-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권리옹호행동에 관한 연구24페이지
-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26페이지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참여학생의 서비스 재참여 의사를 결정짓는 요인에 관한 연구17페이지
-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26페이지
- 따돌림 피해 경험이 우울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21페이지
- 지역아동센터의 사례관리가 아동방임 감소에 미치는 효과15페이지
-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방임, 문화변용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27페이지
- 또래 괴롭힘 참여역할에 따른 긍정적 강점의 차이21페이지
- 학교적응유연성 척도의 요인구조 분석24페이지
- 청소년 후기 발달적 특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2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