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경호경비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경호경비학회지
ㆍ저자명 : 김은영, 박선영
ㆍ저자명 : 김은영, 박선영
목차
Ⅰ. 서 론Ⅱ. 테러리즘데이터 베이스 구축의 어려움
Ⅲ. 미국의 START센터의 GTD 구축사례
Ⅳ. START 센터의 GTD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의 현황 및 기술적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한국어 초록
국제테러리즘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은 일반범죄데이터베이스 구축에 비해서 형사사법기관 및 관련업무자들과 범죄학자들에게도 어려운 도전이 되는 일이다. 그러나 국제적인 단위
의 테러리즘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 및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형태의 종합적인
데이터베이스구축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점점 더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이 연구는
미국의 메릴랜드대학 내의 START 센터에서 구축하여온 GTD 데이터베이스의 시작과 발달
과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GTD는 START 센터가 핑커단의 세계정보서비스데이터
(PGIS)를 기반으로 인터넷을 비롯한 다양한 공개출처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형식으로 현재
까지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오고 있는 세계 테러리즘 데이터베이스이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GTD 데이터의 발전과정과 이 GTD 데이터의 수집된 내용(변수 및 데이터의 수집규모 등),
그리고 데이터의 수집과정에서 나타난 다양한 노력들에 대해서 소개 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서 GTD 데이터를 사용하여 지역 및 나라별 테러현황 및 분포 등에 대한 내용을 기술적
및 시계열적으로 분석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GTD의 소개를 통해서 국내의 국제테
러리즘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의 필요성과 방향 및 구체적인 수행을 위한 구체적인 사례를
소개하여 국내에서의 세계테러리즘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이연구의
공헌점, 정책적 함의 그리고 제한점 등이 논의에 거론되었다.
영어 초록
Collecting international terrorism database is a challenging task not onlyfor criminal justice personnel but also for criminologists in comparison to the
case of common types of crime database. Yet,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s
and efforts in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terrorist events data base in the
world. This current study has a goal to introduce an example world terrorism
database case developed by START center in the United States. The START
center developed the Global Terrorism Database (GTD) on the basis of by the
Pinkerton Global Intelligence Service data (PGIS) originally collected by the
Pinkerton. Furthermore, The START expended the GTD by collecting data from
open source terrorist event data via internet and other resources. In this study,
specifically, it describes the development and the nature of the GTD in general
and the data collection efforts made by the STATA until today. Finally, this
study provides a sketchy of the nature of the GTD data by showing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and time-series analyses result illustrating
distribution of the world terrorism events. The limitation, policy implications
and contribution of this study discussed in this 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