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초등국어교육 / 51권
ㆍ저자명 : 박창균
ㆍ저자명 : 박창균
목차
1. 서론2. 연구 방법
2.1 중요 사태 파악법
2.2 자료 수집 및 분석
3. 연구 결과
3.1 수업대화의 문제 상황 범주
3.2 학년별 수업대화의 문제 상황
4. 결론
한국어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교 수업대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학년별 수업대화의 주요문제 상황을 발견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에서 의사소통 문제 사태에 대한 교사 책무성은 수업 개선의 시발점이
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초등학교 수업대화에서 ‘교사 안내’, ‘학생 수준 파악’, ‘학습 태도’ 범주는
모든 학년에서 의사소통 문제가 자주 발생하는 상황이다.
셋째, 수업대화의 문제 상황 중 1학년은 ‘학습 태도’, 2학년은 ‘교사 안내’, ‘수업
전개’, 3학년은 ‘교사 안내’, 4학년은 ‘학생 수준 파악’, ‘학습 태도’, 5학년은 ‘모둠
활동’, 6학년은 ‘학습 태도’ 범주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넷째, 수업대화의 문제 상황은 의사소통의 전, 중, 후 과정에 따라 다각적인 해결
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수업대화 문제에 대한 상황별 접근은 기존의 기능적, 과정적 교사화법
교육의 대안적 관점이 될 수 있다.
영어 초록
This study found that the situation of the main problem of the classroomconversation with a systematic analysis of the elementary school classroom
convers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untability of teachers for the communication problems that the
beginning of the class improvement is significant.
Second, it is the communication problems that occur frequently in all grades,
the following categories: ‘teacher guidance’, ‘students level grasp’, ‘learning
attitude’.
Third, the 1st grade, ‘learning attitude’, the 2nd grade, ‘teachers guidance’
and ‘class deployment’, the 3rd grade, ‘teachers' guide’, the 4th grade, ‘students
level grasp’, ‘learning attitude’, the 5th grade, ‘group activities’, the 6th grade,
‘learning attitude’ category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Fourth, communication problems in a classroom conversation communication
before, during, and after the process is the need to establish a multi-faceted
solution.
Fifth, problem situation-specific approach of classroom conversation can be
an alternative perspective of the teacher communication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