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생강화를 위한 다공성 소일 블록의 치수안정성 해석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습지학회지 / 15권 / 1호
ㆍ저자명 : 박상우, 안태진, 안상호, 권순현
ㆍ저자명 : 박상우, 안태진, 안상호, 권순현
목차
1. 서 론2. 다공성 소일 블록의 특성
5. 결 론
한국어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자연친화적인 호안 블록의 현장 적용시 충분한 기술적인 검증과 구조적, 수리학적 안정성 검토 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생태적 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식생강화를
위한 다공성 소일 블록에 대하여 수리적 거동 변화에 따른 수리학적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대상구간을 선정
하여 수치해석 및 수리모형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수치해석을 위해 1차원 수치해석모형인 HEC-RAS와 2차원
수치해석모형인 RMA-2를 이용하여 1, 2차원 수치해석을 실시하였고, Froude 상사법칙을 적용하여 식생 유,
무에 따른 축척된 수리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수리모형실험의 경우 실험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위해 축척된
수리모형실험의 유속 및 소류력 결과를 원형으로 환산하여 1, 2차원 수치해석결과와 동일한 조건하에 비교·
검토하였고 그 결과 비교적 일치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에 따른 원형으로 환산된 소류력
결과를 기존 연구결과인 호안의 허용소류력과 비교함으로써 블록의 수리학적 안정성을 제시하였다.
영어 초록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improve problems of not enough technical validation and structural and hydraulic stabilityevaluation when nature-friendly revetment block is applied to field, hydraulic stability evaluation according to hydraulic
behavior change of porosity soil block for vegetation reinforcement that secures ecological function was reviewed. By
selecting object section, numerical analysis and hydraulic model experiments were performed; for numerical analysis, by
using 1-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model HEC-RAS and 2-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RMA-2, one-dimensional(1D)
and two-dimensional(2D) numerical analysis were performed; by applying Froude's similarity law, reduced-scale hydraulic
model experiments according to vegetation existence were performed. In hydraulic model experiment, for validity of
experiment result, the result of velocity and tractive force of reduced-scale hydraulic model experiments was converted to
prototype so that it can be compared and reviewed under the same condition of one-dimensional(1D) and
two-dimensional(2D) numerical analysis resul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comparatively united result appeared, and
by comparing prototype-converted tractive force result with revetment’s allowable tractive force coming from an existing
research, block’s hydraulic stability was suggested.
참고 자료
없음태그
"한국습지학회지"의 다른 논문
- 보 유출형태에 따른 하류부 도수 및 비에너지 손실에 관한 비교 연구9페이지
- 인도네시아 그데 빨랑오(Gede Pangrango) 국립공원의 생태관광 활성화방안 연구9페이지
- 기후변화를 고려한 일강우량의 지역빈도해석13페이지
- 산악지역에 GCM 자료를 이용하기 위한 공간 축소방법 개발10페이지
- RCP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이용한 기후변화가 미호천 유역의 설계홍수량에 미치는 영향평가10페이지
- 강우유출수 처리목적 인공습지의 강우시 오염물질 저감특성에 관한 연구12페이지
- 계단식 묵논습지에서의 물이끼 서식 특성8페이지
- 이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준설 탁도플륨의 혼합거동 연구11페이지
- 커터헤드 형태에 따른 준설효율에 관한 실험적 연구8페이지
- Searsville 댐 상류부를 대상으로 한 퇴적토와 저수지로 구성된 지하수 시스템의 지하수-지표수..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