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기업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기업교육연구 / 15권 / 1호
ㆍ저자명 : 이영민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한국어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인적자본기업패널(HCCP) 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기업근로자가 교육훈련방법별(집체교육훈련, 원격교육훈련, 현장교육훈련)로 교육훈련을 선택하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는 것이다. 총 500개 기업, 9,743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다층모형(multi level model) 분석을 실시하였다. 1수준의 근로자수준과 2수준의 기업수준을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되, 기초모형과 연구모형을 분리하여 실시하였다. 1수준 변인들로는 연령, 연령제곱, 성별, 혼인 여부, 학력, 주당 평균근로시간, 월평균 근로소득, 입사연차, 직급, 참여과정, 교육훈련 참여일수, 자격증 소유 여부, 이직의사 정도, 정규직 여부, 만족도 수준 변인을 투입하였고, 기업수준 변인들로는 업종, 기업규모, 전체 근로자수, 교육훈련 전담부서 유무, 교육훈련 결과 반영, 1인당 매출액 log, 1인당 순이익 log, 1인당 교육훈련비 log 변인을 투입하였다. 연구결과, 교육훈련 방법별로 참여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일부 변인들에는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 1수준에서는 성별, 학력, 입사연차, 자격증보유, 이직의사, 정규직 여부 등이 주요한 변인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2수준에서는 업종, 교육훈련 담당조직 설치 여부, 교육훈련 결과 반영여부, 1인당 교육훈련비 등이 근로자의 교육훈련 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서는 주요 변인들을 탐색하였을 뿐만 아니라, 교육훈련의 방법별로 차이가 있는 변인들의 특성과 영향을 미치는 이유 등에 관해 기술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후속으로 구체적인 교육훈련의 방법별 분류나 영향요인 파악에 따른 기업의 교육훈련 체제변화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어 초록
The aim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the participation of employees in corporations by the types of education and training, using 4th Human Capital and Corporates’ Panel (HCCP) data. The types of education and training were classroom-based education and training, online education and training, on-the-job education and training. We examined 500 corporations and 9,743 employees and applied Multi-level Model in terms of employee level (1st level) and corporate’s level (2nd level). The variables that we used for the analysis were classified into two folds: First level variables were age, age square, gender, marriage status, academic degree, weekly working hours, monthly income, entry year, job position, participation process, days of training, certificates holding, turnover intention, typical/atypical working, job satisfaction. Second variables were industry type, the size of corporations, number of employees, education and training department, performance appraisal, the total sales per capita, the net profit per capita, training cost per capita.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in level 1, identified influential factors were gender, academic degree, entry year, certificates holding, turnover intention, and typical working. In level 2, industry type, education and training department, performance appraisal, and training cost per capita. We identified the influential factors and described why these education and training types had influenced the selec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We also suggested the new directions for studying the specific types of education and trainig as well as identifying the unknown influential factors in future study.
참고 자료
없음
"기업교육연구"의 다른 논문
더보기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