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의 EBS 및 컴퓨터 활용과 교사의 ICT 활용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
ㆍ수록지정보 : 교육공학연구 / 28권 / 4호
ㆍ저자명 : 김세리, 남창우, 장선영
ㆍ저자명 : 김세리, 남창우, 장선영
목차
Ⅰ. 서 론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한국어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학교 교육현장에서 학생의 EBS 및 컴퓨터 활용과 교사의 ICT활용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에서 주관하는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1-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고,자료 분석을 위해 학생-교사의 2수준 다층모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정리하면, 첫째, 초등학교의 경우, 개인 수준에 있어서는 학생 개인의 컴퓨터 활용 능력과자기주도적 학습태도 변인이 학업성취와 정적인 관계를 나타냈지만, 컴퓨터 활용 빈도 변인은 학업성취와 오히려 부적인 관계를 나타냈다. 교사 수준에서는 교사의 컴퓨터실 활용도 변인만이 학업성취에 정적인 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중학교의 경우, 개인 수준에 있어서는 EBS 도움 여부, 컴퓨터 활용 능력,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변인이 학업성취와 긍정적인 관계를 나타냈지만, 초등학교와 마찬가지로, 컴퓨터 활용 빈도 변인은 학업성취와 부적인 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교사 수준에서는 교사의 수업 방식이 학업성취와 긍정적인 관계를 나타냈다.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EBS(Educational Broadcasting System) program and computer use, and teachers' ICT use in educationon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dataset of the Seoul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ELS 2011) from Seoul Educational Research & Information Institute. Inaddition, this study used two-level(level-1: student, level-2: teacher) hierarchical linear models for the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ed that at the level-1(student),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ability of using computer’ and ‘the attitudetoward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s, but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between ‘frequency of computer use’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s. They also indicated that at thelevel-2(teacher),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frequency of computer classroom’ and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r middle school studentsshowed that at the level-1(student),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support ofEBS program’, ‘the ability of using computer’ and ‘the attitude toward self-directed learning’, andtheir academic achievements, but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frequency of computeruse’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s. They also indicated that at the level-2(teacher), there was a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instructional methods’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참고 자료
없음"교육공학연구"의 다른 논문
- SNS 활용 요소 개발 및 IPA 방법에 의한 SNS의 교육적 활용 우선순위 규명28페이지
- 학제간 통합교과 개발 및 블렌디드형 협동학습 모형 적용 연구18페이지
- 학습자의 관점에서 바라본 대학수업에서의 과제표절27페이지
- 학교교육 블랜디드 러닝을 활용한 협력적 지식창출 절차적 모형 개발 연구46페이지
- 일반 교실에서 교수-학습을 위한 컴퓨터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21페이지
- 온라인 토론의 참여환경과 토론집단 크기에 따른 사회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23페이지
- 수업컨설팅 인식 및 요구조사에 기초한 수업컨설팅의 과제27페이지
- 소셜네트워크 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심리적 특성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22페이지
- 동료피드백 활동을 통한 예비교사들의 수업설계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 ASSURE모형활용 수업지도안..20페이지
- 그림정보의 처리에서 인지부하의 측정시점과 인지효율성 수준에 따른 인지부하의 차이2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