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청소년지도자의 역량강화 및 복지개선에 관한 소고
(주)학지사
- 최초 등록일
- 2015.03.25
- 최종 저작일
- 2011.06
- 37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6,6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글로벌청소년학회
ㆍ수록지정보 : 글로벌청소년학연구 / 1권 / 1호
ㆍ저자명 : 이민희
목차
논문개요
Ⅰ. 서론
Ⅱ. 독일의 청소년지도자 역량강화 및 복지개선의 현황
Ⅲ. 결론 - 독일의 청소년지도자 역량강화 및 복지개선의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본 논문은 한국 청소년지도자의 질적 제고를 위한 전문성을 강화와 이들의 열악한 근로환경을 개선하려는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그간 한국 정부는 시급한 청소년지도자의 양적 확보에만 급급했고 이들의 질적 제고와 배치나 근로조건의 문제에 등한시하여 이들의 빈번한 이직률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한국의 상황과 비교하여 유럽에서 청소년 육성의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독일의 경우 청소년지도자들의 질적 제고를 위하여 어떻게 역량을 강화하고 있는지와 이들의 복지 개선을 위하여 어떠한 환경들이 마련되고 있는지 상세히 고찰하였다. 독일과 비교 연구한 결과로 한국 청소년지도자들의 역량강화와 복지개선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안이 도출되었다. 첫째, 전국의 대학교와 전문대학에 청소년관련 전공 학과를 지속적으로 늘리고 졸업 학위를 받는 자에 한에서 2급 청소년지도자 자격을 부여하여 이들이 청소년 관련 시설 및 기관에 최우선 배치 되도록 한다. 둘째, 현행 청소년지도자의 실습 경험이 매우 취약하므로 청소년 관련 시설 및 기관에서 최소 약 320시간 이상의 실습 시간을 이수한 자에게만 김정 응시자격을 부여하여야 한다. 셋째, 사회 및 환경의 변화에 따라 현장에서 근무하는 청소년지도자들의 지속적인 직무교육 차원의 역량강화교육과 슈퍼비전이 수행되어야 하고, 이를 관련 법령에 의무화하도록 명시하고, 예산을 지원하도록 규정해야 한다. 넷째, 청소년지도자를 위한 복지정책 중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로 과다한 업무를 덜어주기 위하여법에서 청소년지도사 배치를 전체적으로 상향조정하여야 한다. 이와 함께 청소년지도자의 직무를 표준화와 청소년육성전담공무원 제도의 현실화를 위한 각계의 의견수렴과 노력이 필요함이 강조되었다.
영어 초록
This study aims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 for the Korean youth workers and to improve their work environment by comparing the current states of the policy and programs for youth workers in Germany. Several suggestions for Korean youth workers are addressed as follows. First, the continuos establishment of youth-majoring departments at the level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respectively in the nation was emphasized. Second, in order to improve youth workers’ quality of their practices, more than 320 hours of practicum in the youth agencies and facilities is required for qualifying the required professional training and examination. Third, continuous on-the-job training and supervision systems are recommended for youth worker’s capacity building as needed in the youth-related law and regulations. Finally, the public discussion and opinion exchange opportunities are suggested for the placement of youth workers to reconsider their reduced work loads, the standardized job duty and specification, and youth officer recruitment system.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