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배제 집단으로서의 저소득 모자가족과 통합적 복지대책 수립을 위한 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사회복지학
ㆍ저자명 : 송다영
ㆍ저자명 : 송다영
목차
1. 문제제기2. 이론적 논의
3. 저소득모자가족의 전반적인 생활실태와 배제
5. 결론 및 제언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저소득 모자가구주의 대부분이 일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으로 여전히 어려운노동빈민(working poor)으로서의 위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 속에서 비롯되었으며,
저소득모자가구의 생활실태를 최근 사회과학 내에서 논의되고 있는 사회적 배제 개념을 이용하여 분석
하고 이의 극복방안으로서 사회적 통합과 연대모색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남성가장을
중심으로 한 일반가구, 일반 모자가구, 사회적 빈곤선 이하에 놓인 저소득모자가구를 대상으로 각 가
구유형별 특성과 생활실태를 비교분석하고 이를 통해 전반적인 모자가구의 사회적 배제과정을 살펴보
았다. 본 연구는 2000년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사회복지욕구조사」원자료를 이차분석(secondary
analysis) 하였으며 총 3,182가구가 최종적으로 분석에 포함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전반적으로
모자가구는 일반모자가구, 저소득모자가구에 상관없이 고용형태, 주거형태, 소득, 소비생활 측면에서
일반(남성가장)가구에 비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일반가구에 비해 모자가구는 가족으로부터 자원을
제공받기보다는 오히려 장애, 만성질환 등의 가족원을 보호해야 하는 상당한 부담을 안고 있었으며,
사회적 안전망에서도 모자가구는 전반적으로 제외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모자가구가 일반
가구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사회적으로 취약해지거나 고립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현실을 반영하며, 현
재 공식적으로 빈곤층, 혹은 저소득층으로 분류되지는 않았지만 일반모자가구도 포괄적인 사회적 안전
망이 확립되지 않는다면 향후 저소득층으로 배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사실을 확인시켰다. 마지막
으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전체 모자가족의 사회적 배제를 극복할 수 있는 사회적 통합방안이 모색되
었다.
영어 초록
The study starts from the critical thought on why most of female-headedsingle-parent families are under poverty regardless of their hard working. The study
is to explore the lives of low-income single-parent families as working poor and to
develop comprehensive policies for them out of poverty and other social
vulnerability, using the concept of social exclusion which has been broadly
introduced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Specifically, the study aims to analyse the
process of social exclusion of low-income single-parent households, by comparing the
differential lives in the economic, social, political aspects among male-headed
dual-parent household, female-headed single-parent household, and poor
female-headed lone-parent household who is under the public poverty line. The
study was based on the secondary data analysis. A total of 3182 samples(the first
2508, the second 235, and the third 439) were included. Using SAS 6.12, frequency,
chi-square, means, and ANOVA were utiliz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show that single mothers, on the whole, are vulnerable population in
terms of employment, housing stability and income. Also, low-income households of
single mothers are more negatively affected by the IMF economic crisis and carry
more pessimism on their future. In comparison with male-headed households, single
mothers have fewer support from social insurance as well as family resources and
higher burdens of additional caring need for the old, the disabled, and the
chronically ill. These findings identify the reality in which female-headed households
with dependent children are exposed to the overall social vulnerability and thus are
easily trapped into the social disadvantaged. Finally, the study suggests the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policies and counter-measurements for low-income
female-headed families to be the primary member in our society.
참고 자료
없음태그
"한국사회복지학"의 다른 논문
- 가족․국가․공동체의 소득 안정화 효과 분석25페이지
- 재가 노인을 위한 사례관리 서비스의 효과성 연구2) : 팀접근 모델을 중심으로22페이지
- 종합사회복지관의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정보수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청소년복지 프로그..28페이지
- 노인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 헌신과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 활동이론을 중심으로23페이지
- 중증장애노인의 비공식 보호 제공량과 유형의 결정요인 연구18페이지
- 충청 지역의 도박중독 실태와 가족관계에 대한 연구25페이지
- 시각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실태와 관련 요인28페이지
- 정신장애인 직업재활모델과 직업평가 : 직업기능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25페이지
- 가출 청소년의 비행 경험에 대한 해석적 연구23페이지
- 사회복지노동조합에 대한 인식 및 참여요인 분석 : 사회복지종사자를 중심으로3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