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영어학습자의 듣기능력 신장 방안 연구 : 받아쓰기 훈련을 중심으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ㆍ수록지정보 : 교과교육학연구 / 2권 / 1호
ㆍ저자명 : 한종임, 최세라
ㆍ저자명 : 한종임, 최세라
목차
요약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영어 듣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 · 학습 방법의 일환으로 듣기 지도를 위한 받아쓰기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받아쓰기가 영어 듣기 능력 신장에 미치는 학습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한 결과, 첫째, 받아쓰기 연습은 듣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둘째, 듣기 능력이 떨어지는 하위집단 학습자에게는 부분 받아쓰기가 더 효과적이고 듣기 능력이 비교적 좋은 상위집단 학습자들에게는 문장 전체의 이해를 요구하는 전체 받아쓰기가 더 효과적이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영어교육 현장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교사들은 받아쓰기를 주로 평가로만 활용해 오던 종래의 방식에서 탈피하여 영어학습 초기 단계부터 듣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둘째, 듣기와 연계된 받아쓰기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영어 학습초기 단계에서는 부분 받아쓰기의 비율을 전체 받아쓰기보다 더 많게 하고, 학생들의 듣기능력이 높아짐에 따라 점차 전체 받아쓰기에 역점을 두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영어 초록
The goal of Korean English education lies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EFL learners’ communicative competence. Listening has been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and essential component in developing communicative competence since listening comprehension was proved to be an active skill. However, most English teachers do not know how to teach listening effectively in their class and students say that listening is the most difficult part among the four language skills. Therefore, research on improving listening ability is most needed in order to develop Korean EFL learners’ communicative competenc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ctation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listening comprehen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wo experimental groups and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further divided into two groups: a spot dictation group and a full dictation group. The two experimental groups were given a dictation task in the consolidation stage of every English class, while the control group was given the traditional consolidation stage without any dictation task.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listening comprehension, but the control group did not.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pot dictation group and the full dictation group with respect to the improvement of listening comprehension. This indicates that the type of dictation is not a significant factor in improving listening skill. Third, the full dictation was proved to be more effective to the high listening proficiency level learners, whereas the spot dictation was more effective to the low listening proficiency level learn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ctation can be used as one of the effective methods for improving Korean EFL learners’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and the types of dictation should be determined according to learners' listening proficiency levels: the spot dictation is recommended for the low level learners and the full dictation is recommended for the high level learners.
참고 자료
없음"교과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
- 초등학교 아동의 학원수강과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15페이지
- 한국의 초등 영어 몰입 프로그램 사례분석19페이지
- 문학 중심 언어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16페이지
- 반성적 사고 신장을 위한 교육실습지도 : 실습지도교수의 역할을 중심으로18페이지
- 클럽활동 유형별 운영실태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의견 분석11페이지
- 환경교과교육이 중학생의 환경에 관한 지식과 태도형성에 미치는 영향15페이지
- 고등학교 보건교육 교육과정 선정을 위한 조사 연구20페이지
- 기하영역에서 개념 이미지에 관한 연구22페이지
- 제6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수학교과서 분석 : 1학년 중심으로18페이지
- 그래픽 계산기를 이용한 수업이 극한의 학습에 미치는 효과1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