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를 위한 변명: ‘담대한 희망’ 대(對) 역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21세기정치학회
ㆍ수록지정보 : 21세기정치학회보 / 24권 / 3호
ㆍ저자명 : 이혜정, 김상기
ㆍ저자명 : 이혜정, 김상기
목차
I. 서론II. 미국 자본주의의 위기
III. 미국 민주주의의 실패
IV. 미국 패권의 한계
Ⅴ.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오바마는 왜 ‘담대한 희망’의 실현에 실패해 왔는가? 본 논문은 오바마가 직면해온 위기의실체와 위기 극복을 어렵게 하는 원인을 경제, 정치, 대외정책의 측면에서 종합적 ? 역사적 ? 구
조적으로 고찰한다. 경제 위기에 대한 오바마의 진단은 대공황 이후 루스벨트의 개혁에 버금
가는 미국 자본주의의 개혁을 요구했지만, 기존의 제도적 ? 이념적 관성은 이러한 변화에 중요
한 장애가 되었고, 티파티와 공화당의 공세는 신자유주의 체제를 개혁하고자 했던 오바마의
기획을 당파적 진지전 안으로 가두었다. 정치적 양극화는 경제 위기 극복을 어렵게 했을 뿐
아니라 그 자체로 미국 민주주의의 집단적 실패를 설명한다. 오바마가 추구한 “통합된 미국”
은 초당파적 협력을 요구했지만, 정치적 양극화는 통합은 고사하고 연방정부 폐쇄와 같은 극
단적 결정마저 불사했다. 오바마의 정치 ? 경제적 위기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패권질서에 비
견되는 대안적 질서의 제시로 이어지지 못했고, 연방정부예산자동삭감조치와 연방정부 폐쇄
를 초래하면서 아시아 회귀 정책을 지연시켰다. 개입축소에 대한 반발과 실패국가 안보패러
다임이라는 역사적 유산은 미국을 다시금 전쟁의 수렁으로 빠뜨렸고, 안보와 가치가 조화되
는 패권의 재구축은 더욱 어려운 과제가 되고 있다. 오바마의 삼중 위기는 미국 패권의 현재
적 한계를 뚜렷이 드러내며, 그 미래 또한 밝지 않음을 시사한다.
영어 초록
Why has the US President Obama failed to realize ‘the audacity of hope’? Thisstudy explores crises that Obama has faced in terms of economy, politics, and
foreign policy, with comprehensive, historic, and structural views. Obama’s
diagnosis of the economic crisis required the reform of US capitalism that
corresponds to Roosevelt’s reformative policy after the Great Depression, but the
inertia of existing institutions and ideology has been a critical barrier to the
change, and the Tea Party movement and the Republican party locked up
Obama’s plan to reform a neo-liberal economic regime in the frame of a partisan
struggle. Political polarization means a collective failure of the US democracy.
While Obama’s dream for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required bipartisan
cooperation, political reality of polarization led to extreme decisions such as a
government shutdown. Obama, trapped in a political and economic crisis, could
not make a new international order that corresponds to an hegemonic order after
World WarⅡ, and sequester and shutdown delayed rebalancing toward Asia.
Interventionists’ objection against retrenchment and the historical legacy of the
“failed state” security paradigm let the US fall again in the mire of war in Iraq,
and make it more difficult to rebuild an hegemonic order in which the US
security does not damage its values. The triple crisis of Obama clearly reveals
current limitation of the US hegemony, and implies that the future of the
hegemony is also not promising.
참고 자료
없음태그
"21세기정치학회보"의 다른 논문
- 호주의 중견국 공공외교와 ODA 고등교육 장학협력사업34페이지
- The Making of the European Periphery: A Critical Analys..25페이지
- 유로자본주의의 금융화와 유로위기의 동학26페이지
- Rethinking the “Killing Field” of the Democratic Kampuc..28페이지
- 미국 중간 선거에 관한 역사적 고찰 (“Midterm Elections in Political Ti..21페이지
- 1972년 ~ 2012년 공화당과 민주당의 환경정책 정강의 비교분석29페이지
- 동북아 연해거점도시의 광역권 연계협력 전략과 초국경 거버넌스: 동남광역권, 규슈광역권, 칭다오광역권..35페이지
- 부산지역발전을 위한 사회복지·문화정책 모형 연구: “여성정책”을 중심으로28페이지
- 누가 사전투표제에 참여했는가?: 부산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26페이지
- 상향식 공천 방식은 민주주의를 진전시키는가?: 2014년 지방선거를 중심으로2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