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www.naver.com) 지식iN 건강/의료상담 서비스에 있어서 질문자와 답변 의사가 행하는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대한 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ㆍ수록지정보 :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 11권
ㆍ저자명 : 유현재, 서영지, 지홍래
ㆍ저자명 : 유현재, 서영지, 지홍래
목차
1. 서 론2. 선행연구
3. 연구문제
4. 연구방법
5. 연구결과 및 시사점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의사와의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을 제외하고, 대중들이 의료 및 건강과 관련한 정보들을 습득하는 경로는 최근 그 어느 때보다 다양해지고 있다. 텔레비전을 중심으로 의료와 건강에 관한 프
로그램들이 다수 방영되어 큰 관심을 끌고 있으며, 그 외에도 국내 약 5,000여 개의 건강정보
웹사이트들이 운영됨으로써 대중들의 건강에 대한 각종 정보욕구에 대응하고 있는 중이다. 이
같은 추세와 더불어, 포털사이트인 네이버(www.naver.com) 가 2008년 9월 시작하여 운영
중인 지식iN 건강/의료상담 서비스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미 질문에 답하는 의료/건강 전
문가의 숫자가 1,700명을 넘었으며, 높은 조회수와 함께 제공되는 정보들 또한 구체적이고 환
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본 탐사적 연구는 현재 한국의 헬스커
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네이버 지식iN 건강/의료상담 서비스에 있어서 사용자들이 특정한 정보에 대해 질문할 때 활용하는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일선 의사들
이 대답에 활용하는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질적 분석기법을 활용해 비교,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 환자들의 질문은 증상이나 질환의 구체적인 묘사보다는 감정만 전달하려는 경우가 많았
으며, 내원 후 진단받은 검사결과의 재해석을 요구하는 사례도 다수 볼 수 있었다. 사용자들의
연령은 30세 미만이 80퍼센트를 차지할 만큼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의사들의 대답에 있어서
는, 인터넷 상의 상담에 대한 한계를 언급하며 병원 치료를 반드시 권유하고 있었으며, 위협소
구를 자주 사용하기도 하였다. 여전히 전문적 용어의 사용이 빈번함이 관찰되었고, 환자들에게
민간요법을 지양할 것을 권면하는 내용도 자주 볼 수 있었다. 이외에 환자의 질문 방식에 대해
의사가, 의사의 답변 방식에 있어서 환자가 희망하는 사항들도 다수 발견되었다.
영어 초록
We have seen such a diversity in terms of the ways for people to search and getinformation about health beside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Not only the increase of TV programs dealing with health issues, there are also
about 5,000 health-related websites which satisfy the people’s needs to know about
health. Along with this trend, a popular portal site ‘www.naver.com’ have been running
knowledge iN Health/Medical service which have been incredibly popular. The number of
medical/public health professionals has been approaching about 1,700, and the information
has been updated daily basis in order to provide more practical information people want
to get. This exploratory study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vestigated the content
seen in the service for a specific period of time and the styles used to communicate
between the professionals and patients. As results, there have been many efforts by
patients to provide some emotional pain, and to try to show the results from medical
clinics to other professionals online. About 80% of the users were found less than 30 in
the ages. We have seen many professional lingos from the professionals’ answ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