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교육학연구 / 52권 / 4호
ㆍ저자명 : 이자형, 김경근
ㆍ저자명 : 이자형, 김경근
목차
I. 서론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론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고려대학교의 SSK 문화적 다양성과 공존 연구단이 수집한 2013년 다문화사회 관련 의견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 영향요인을 살펴보았다. 위계적 선형모형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수준에서는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의 다문화 수
용성이 높고, 서울시나 중소도시보다는 읍면지역이 초등학생에게 다문화 수용성 제고에 유리한 환경
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울러 부모나 친구의 다문화수용성이 높을수록, 교사나 이웃과의 관계
가 친밀할수록, 그리고 공동체의식이 강할수록 아동의 다문화 수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족정체성이 약할수록, 문화정체성이 강할수록 아동의 다문화 수용성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학교수준에서는 학교평균 문화정체성이 높을수록, 다문화교육을 이수한 교사의 비율이 높을수록 초등
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이 제고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하지만 예상과는 달리 재직학교 교사들이 학교
의 다문화 풍토가 적절하다고 인식할수록 아동의 다문화 수용성은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교사의 다문화가정 학생 지도 경험, 학교평균 교사 다문화 수용성 등은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
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간략하게 논의하였다.
영어 초록
Drawing from public opinion data on multicultural people collected in 2013 by the CulturalDiversity and Coexistence Research Team at Korea University, we examined determinant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We applied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to investigate both student- and school-level factors associated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multicultural acceptance. Our HLM results exhibited tha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girls show a higher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nce than boys, while rural students display
a higher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nce than their urban counterparts. In addition, parents' and
friends' multicultural acceptanc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tudents' own multicultural acceptance.
We also found that a better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neighbors and a higher level of sense of
community are closely related with an elevated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nce. Students with a
higher level of racial identity exhibit a lower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nce, whereas students with
a higher level of Korean cultural identity show a higher level. Schools with a higher mean Korean
cultural identity show a higher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nce. Schools with a higher ratio of
teachers who have taken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s show an increased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nce. Contrary to our expectations, however, teachers' experiences of mentoring
multicultural-family students, school’s multicultural climate perceived by teachers, and schools with a
higher mean teachers’ multicultural acceptance have little to do with students' own multicultural
acceptance. We discuss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for policies conducive to enhancement of
students' multicultural accep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