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수능연계정책의 ‘의도하지 않은 효과’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교육학연구 / 52권 / 3호
ㆍ저자명 : 임종헌, 김병찬
ㆍ저자명 : 임종헌, 김병찬
목차
Ⅰ. 서론Ⅱ.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공교육 정상화를 통한 사교육비 절감을 목표로 실시된 ‘EBS수능연계정책’이 교육현장에서 정책 의도에 충실하게 운영되고 있는지 밝혀내기 위하여, ‘EBS수능연계정책’에 대하여 학교와 학
원, 학생이 대응하는 과정에 주목하였다. 특히 그동안의 연구들은 주로 연구대상을 학교로 정하고 학
교의 시점에서 교육현상을 분석해왔던데 반하여, 본 연구는 학원의 시점을 중심으로 교육현상을 바라
보고 분석하였다. 이에, 서울시 동대문구와 강남구의 보습학원을 각각 한 개씩 연구대상으로 정하여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서술형 설문지를 활용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EBS수능연계정책’은 EBS와 대입수학능력시험 간 높은 연계율을 강제함으로서 ‘학교:
EBS에 점령당하기’, ‘학원: EBS는 새로운 돌파구’, ‘학생: EBS는 암기과목’과 같은 의도하지 않은 효
과들을 드러냈다. EBS의 자체조사는 EBS수능방송의 양적.질적인 성장을 바탕으로 사교육비 절감에
상당한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고 있지만, 교육현장에서 학원들은 여전히 만족스럽지 않은 학교 교육과
온라인 교육의 한계를 그대로 지닌 EBS수능방송 사이에서 그들만의 영역을 확보하고 있었다. EBS수
능연계정책의 개선점으로 EBS수능연계범위 축소, 학교의 내신시험에 EBS문제를 출제하는 것을 제한
하기 등을 제언하였다.
영어 초록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process of reaction to the policy of ‘EBS-linked KSAT inKorea’ for public schools, private institutions, and students to investigate whether the police
works on its intent to lower private education costs through reinforcing public education in the
field. While most previous researches have focused on the status quo in education fields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schools, this research takes the perspective of private institutions to
analyze education fields. Thus, this research aims at private institutions in Dongdaemoon-gu and
Gangnam-gu and do qualitative case study through descriptive questionnaires.
This research reveals that the police made unintended effects such as ‘Public School:
Occupied by EBS’, ‘Private Institution: New Opportunity’, and ‘Student: Learning by Rote’.
Though EBS reports that the poli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owering private education costs
indebted to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of EBS KSAT courses, private institutions
secure individual area between dissatisfactory public education and EBS KSAT which has
limitations of on-line education. To improve the incomplete ‘EBS-linked KSAT’, this research
suggests reducing EBS-linked KSAT curriculum and restricting EBS-linked test in public
school and etc.
참고 자료
없음태그
"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
- 한ㆍ중 어머니의 성취 목적, 중학생의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 및 성취 목적 간의 관계26페이지
- 입학사정관제 입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35페이지
- 일본인 교사의 재일한국·조선인상 배경요인 분석28페이지
- 학교 다문화교육의 근본적 한계에 대한 비판적 검토25페이지
- MeFOT 창의적 사고 중심의 과학활동이 유아의 주의집중과 과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30페이지
-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28페이지
-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편성 방향 설정을 위한 총론의 주요 역할 탐색32페이지
- 일본의 지방 교육행정 개혁 동향 연구29페이지
- 이공계 연구중심 대학교의 캠퍼스 문화에 대한 생태학적 탐색30페이지
- 대학생의 교수-학생 및 동료학생간의 상호작용 유형 변화에 따른 자기결정성 동기 분석26페이지